위로가기 버튼

청년의 날

등록일 2021-09-14 20:06 게재일 2021-09-15 19면
스크랩버튼

미래학자들은 미래를 예측하는 가장 중요한 지표로 인구를 꼽는다. 그 나라 인구의 수적우세와 확장성이 국력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국력을 비교하는 중요한 잣대로 보통 군사력과 경제력을 드는데, 군사력과 경제력을 키울 수 있는 핵심적 요소는 역시 인구다. 일찍이 프리드리히 대왕은 “백성의 숫자가 국력을 만든다”했다.

한 나라 인구 중 청년층의 구성비가 중요한 것은 왕성한 생산력 때문이다. 지난해 우리나라는 처음으로 청년을 위한 기본법을 만들고 청년의 날도 정했다. 때늦은 감 있으나 그나마 청년에 대한 권리보장과 청년문제에 대한 관심을 국가가 가진 것은 다행이다.

우리나라에 청년이란 개념은 겨우 100여년 전에 도입됐다. 그 이전까지는 소년과 장년으로 구분했다. 구한말 한국사회는 소년으로 있다가 장가를 들면 장년이 되는 사회다. 개화기 시절, 청년이란 단어가 생겨나자 시중에는 청년이란 이름의 단체가 우후죽순 생기기도 했다고 한다. 청년 개념이 어느덧 우리사회에 정착했지만 청년의 연령적 영역은 모호하다. 보통 20대와 30대를 청년층이라 했다. 그러나 요즘은 40대까지도 청년으로 본다는 견해도 있다. 작년 제정된 청년기본법에는 19세 이상 34세 이하를 청년으로 규정해 청년의 영역이 조금은 뚜렷해졌다.

18일은 두 번째 맞는 청년의 날이다. 경제난과 실업난 등으로 결혼을 포기하고 사는 청년이 늘고 있으나 정부의 뾰족한 대책이 안 보인다. 한 여론조사에서 청년의 70%가 “원하는 직장에 취업하기 어렵고 열심히 일해도 부자가 될 수 없다”고 대답했다. 암울한 미래에 절망을 느낀 청년의 자포자기적 대답같아 가슴이 아프다.

우리의 미래를 밝힐 청년에게 용기를 북돋울 획기적 정책과 사회적 관심이 시급하다.

/우정구(논설위원)

팔면경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