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송(靑松)군의 지명은 푸른 소나무가 많아서 붙여진 이름이다. 군 면적의 82%가 임야며 그 중 수목의 60%가 소나무다. 청송을 대표하는 국립공원 주왕산은 한국인이 꼭 가봐야 할 관광지 100곳 중 다섯 번째 손꼽히는 명소다. 주왕산에는 왕버들이 물에 잠긴 채 자란다는 주산지가 있다. 물에 잠긴 왕버들과 함께 엮어내는 주산지 주변의 풍광은 신비하고도 아름답다. 영화 ‘봄 여름 가을 겨울’에서 4계절 변화의 아름다운 모습이 소개돼 더 유명해졌다.
청송군의 인구는 모두 2만4천여명이다. 면적은 대구와 비슷하나 인구는 대구의 100분의 1정도다. 산지와 임야로 둘러싸여 공기가 맑아 청송을 ‘산소카페’라 부른다. 옛부터 청송은 경북의 오지(奧地)다. 오지란 내륙의 섬이란 뜻으로 두메산골을 이르는 말이다. 교통이 불편해 사람 발길이 잦지 않으나 그만큼 청정지역이란 말이다.
청송은 2011년 국내서는 9번째 슬로우시티 지정을 받았다. 슬로우시티는 자연환경을 위협하는 대량 소비와 무분별한 바쁜 생활을 배격하는 친자연적 생각을 실천하는 운동이다. 지역민이 주체가 돼 지역의 전통문화와 자연환경을 지키자는 것으로 패스트 푸드 음식의 등장에 자극받아 이탈리아 한 작은마을에서 시작됐다. 지금은 세계적으로 동참하는 도시가 늘고 있다.
현대 문명을 부정하는 것은 아니고 도시의 전통과 환경을 지키며 삶의 질을 존중하는 성숙된 삶을 꿈꾸는 운동이다. 속도경쟁에 끌리지 않는 인구 5만 이하 도시만이 슬로우시티에 가입할 수 있다.
청송군이 국제슬로우시티연맹이 주는 도시정책 분야 2021년 국제슬로우시티 어워드를 수상했다. 유네스코 지정 세계지질공원 선정 등 ‘산소카페’ 도시 청송군이 가진 친환경적 콘텐츠와 노력이 돋보이는 결과다. /우정구(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