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낙하산 인사

등록일 2021-09-09 19:39 게재일 2021-09-10 19면
스크랩버튼

11년 전 일이다. 현직 외교통상부 장관의 딸이 외교부에 특채된 사실이 알려져 논란을 일으키자 시중에는 똥돼지라는 말이 유행했다. 똥돼지란 말의 이미지는 복돼지와는 다르게 놀고먹는 부정적 이미지를 갖는 말이다. 특채직원처럼 외부에서 낙하산을 타고 들어온 사람이 일은 제대로 않고 직장의 밥만 축내는 것에 비유한 표현이다.

특채의 의미가 나쁜 것만은 아니다. 특채를 통해 매너리즘에 빠지기 쉬운 조직의 분위기를 쇄신하고 조직 내 폐쇄적 인사 관행도 경계한다. 전문성과 능력이 있는 사람을 스카우트해 조직에 신선한 바람을 불어넣는 수도 있다. 운용하기에 따라 회사도 얻는 이득이 많다.

청와대 행정관 출신이 20조 규모 펀드사 요직에 내정된 것이 알려져 특채 시비로 시끄럽다. 청와대는 아니라 하지만 손바닥으로 하늘 가리기 같다. 문재인 정부 들어 낙하산 인사가 도를 넘었다는 비판은 오래전부터 나왔다. 문 정부 인사를 ‘캠코드’ 인사라 부르는 이유다. 대선 캠프 출신이나 코드 인사, 더불어 민주당 출신이 낙하산 방식으로 공공기관 요직을 차지한 데서 나온 신조어다.

특히 공정사회를 기치로 내세운 현 정부의 낙하산 특채는 숫자적으로 박근혜 정부 때보다 더 많아 내로남불의 대표적 케이스로 손꼽힌다.

국민의 힘 서일준 의원이 공공기관의 경영정보 공개시스템인 알리오 등을 통해 취합한 자료에 의하면 정부산하 공공기관 임원 728명의 13.6%인 99명이 문 대통령 대선 캠프 내지 민주당 출신 친여 인사인 것으로 확인됐다고 한다. 문 정부의 낙하산 인사 빙산의 일각 아닐까 싶다.

코로나 위기와 함께 취업난에 허덕이는 젊은 세대 마음에 상처를 줄까 두렵다. 반칙과 특혜의 고리를 끊겠다는 대통령의 초심은 어디에 간 것일까. /우정구(논설위원)

팔면경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