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년 만에 미군이 아프가니스탄에서 완전히 철수한다고 한다. 요즘 외신은 아프가니스탄 관련 기사로 도배되다시피 하고 있다. 우리와는 특별한 관련이 없어 보이는 나라 아프가니스탄. 나는 아프가니스탄에서 온 사람과 잠시 이야기를 나눈 적이 있다. 쾰른에서 어학 과정을 다닐 때 도이칠란트 남성과 혼인한 아프가니스탄 출신 중년 여성과 ‘사전’에 관해 이야기한 일이 있다. 아프가니스탄에는 독일어 사전이 없어서 답답하고 힘들다고 그녀는 말했다.
멀고 낯선 나라에서 온 사람이구나, 하는 기억만 아직도 남아있다. 외국인들을 가장 많이 만나서 이야기한 시공간은 어학 과정 다닐 때였다. 30개국에서 온 유학생들이나 도이칠란트 체류 외국인들이었다. 한반도 남단의 좁은 시야에서 벗어나 세계의 문제에 어렴풋하게나마 눈을 떴던 것이 그 무렵 일이다.
아프가니스탄은 대단한 요충지에 있다. 동으로는 파키스탄과 중국, 북으로는 우즈베키스탄과 투르크메니스탄, 타지키스탄, 서쪽으로는 이란과 국경을 맞대고 있다. 중앙아시아 한가운데 있으면서, 인도 아대륙과 접경하고 있으며, 중동의 강경파 이슬람원리주의가 득세하는 이란과도 이웃한다. 구소련의 세 나라와 국경을 맞대고 있으며, 중국의 신강(新疆)과 국경이 닿아 있다.
그런 까닭인지 모르지만, 세계열강의 아프가니스탄을 향한 욕망은 유구하다. 우리가 기억하는 아프가니스탄은 소련과 연관돼 있다. 1979년 12월 소련은 이슬람원리주의 무장세력인 무자헤딘을 진압한다는 명분으로 아프가니스탄을 침공한다. 10년 동안 소련은 100조원에 이르는 전비(戰費)와 5만의 병력손상을 입은 채 철군한다. 대영제국이 아프가니스탄에서 오랜 세월 경험한 쓰라린 패배의 교훈을 새기지 못한 까닭이다.
이번에는 미국이다. 2001년 미국은 9·11 테러 배후 조종자로 지목한 오사마 빈 라덴을 내놓으라고 탈레반을 압박한다. 당시 아프가니스탄의 실질적인 지배 세력인 탈레반은 미국의 요구를 거절한다. 같은 해 10월 7일 미국은 대규모 공습과 함께 아프가니스탄을 침공한다. 20년 세월이 흐른 지금 미국은 쫓기듯 황망하게 아프가니스탄 철수를 단행하고 있다. 영화 ‘모가디슈’에서 목숨을 걸고 소말리아를 탈출하던 사람들의 처절한 이야기를 떠올리게 한다.
19세기 대영제국과 20세기 후반 사회주의 종주국 소련에 이어 21세기 유일 강대국 미국마저 아프가니스탄에서 패퇴한 원인은 무엇인가?! 분석가들은 아프가니스탄의 가혹한 기후, 거친 산악 지형과 토착 세력의 완강한 저항 따위를 꼽는다. 험준한 산악에 의지하여 끈질기게 게릴라전을 펼치는 저항 세력에 막혀 침략자들은 패퇴를 반복해온 셈이다. 미국의 아프가니스탄 침공이 결과한 것은 사망 24만, 난민 500만, 전비 1,100조원으로 드러났다.
인도차이나반도가 도미노처럼 공산화할 것이라는 불안에서 시작한 베트남전쟁에서 처참하게 패배했듯이 미국은 아프가니스탄에서도 실패한 첨병이 되고 말았다. 21세기 세계는 특정 제국의 일방적인 지배와 점령이 아니라 우의와 친선에 기초한 평화가 이뤄졌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