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용도 높은 공공데이터 기반의 행정 활성화를 통한 시민 맞춤형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다. 주요 내용은 △공공데이터 발굴과 정제, 표준화 기능 △대용량 데이터 저장소 기능 △데이터 분석(키워드, 소셜미디어, 뉴스 등) 기능 △분석 데이터 시각화 기능 △공공데이터 포털 운영 등이다. 사업이 완료되면 부서별 데이터 공동 활용과 데이터 분석을 통한 시정 현안사업 추진이 가능해지고 데이터 플래그십, 기업 매칭 등 각종 데이터 뉴딜사업 공모도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조규남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