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에는 국민의힘과 국민의당 간 합당 협상이 당협위원장 자리 등을 놓고 지분 쟁탈전으로 비화하면서 난항을 겪고 있다. 실무 협상이 파행 분위기로 흐르며 국민의힘 대선 본경선 전까지 합당은 사실상 불가능한 것 아니냐는 전망도 나온다. 양당의 실무협상단에 따르면, 국민의힘과 국민의당은 20여 곳의 시도당위원장, 5곳의 당협위원장, 각종 상설 위원회 위원장 등의 배분 문제를 놓고 좀처럼 접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지난달 22일 각당이 합당 실무협상단을 꾸려 시작한 협상이 한 달째 아무런 진척을 보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국민의당은 당대당 통합원칙에 따라 ‘위원장직을 공동으로 운영하자’는 입장이지만, 국민의힘은 ‘받아들이기 어렵다’고 맞서고 있다. 야권단일 후보 선출을 위한 개방형 플랫폼 구성도 쟁점이다. 국민의힘은 당 경선준비위원회가 플랫폼이 돼야 한다는 입장이지만, 국민의당은 외부의 주자들까지 참여하는 별도의 위원회를 구성해 플랫폼을 만들어야 한다고 요구하는 상황이다. 양당은 현재 합당 논의에서 핫이슈가 되어온 ‘당명 변경’ 문제에도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가 합당을 하면서 당명을 바꿀 것을 강력하게 요구했지만 이준석 대표는 “식당 잘되고 있는데 간판을 내리나”라고 맞서고 있다. 이처럼 야권이 합당 실무협상단을 가동한 후 지루한 공방만 이어지자 정권교체를 바라는 많은 국민이 피로감을 호소하고 있다.
국민의힘과 국민의당 합당 추진은 범야권의 대통합을 통해 정권교체의 교두보를 만들기 위한 것이다. 만약 합당이 되지 않을 경우, 내년 대선 가도에서 다양한 부정적인 변수가 발생한다는 사실은 불을 보듯 뻔한 일이다. 그렇지 않아도 윤석열 전 검찰총장의 입당이 늦어지면서 국민의힘을 중심으로 한 야권의 동력이 떨어지고 있다. 양당의 합당과정에 잡음이 나오지 않을 수 없지만, 지지부진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이준석 대표와 안철수 대표가 톱다운 방식으로 마주 앉아 꼬인 매듭을 풀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