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추진단은 “특별법 제정을 계기로 속도를 내고있는 부산 가덕도 신공항과 달리 정치권의 무관심 속에 지지부진한 대구경북 통합신공항의 신속하고 안정적인 건설을 뒷받침하기 위해 특별법 제정이 필요하다”고 정치권에 설명했다. 시민추진단은 지난 4월부터 서명운동을 벌여 시도민 10만4천946명의 서명을 받았다.
잘 아는대로 부산 가덕도 신공항은 영남권 5개 광역단체장이 합의한 김해 신공항 확장안을 뒤집고 여당이 밀어붙인 사업이다. 부산시장 재선거를 의식해 무리하게 추진한 선심 정책의 결과다. 앞으로도 이렇게 추진될 사업은 아마 찾아보기 힘들 것이다.
영남권 신공항 건설은 2005년부터 논의됐다. 수많은 갈등 끝에 2015년 영남권 5개 시도지사가 김해공항 확장안으로 마무리했다. 1천300만 영남권의 주민이 공동으로 이용할 영남권 신공항의 입지가 국제적 권위기관의 검증을 통해 마무리된 것이다. 당시 가덕도는 3위권으로 후보지 중 가장 경제성이 낮았던 것으로 평가됐다.
그럼에도 선거를 의식한 여당이 밀어붙여 5개 단체장 합의의 국책사업은 무시되고 가덕도 신공항이 살아난 것이다. 가덕도를 위한 특별법이 만들어지고 국회 법안통과 등 일사천리로 일이 진행됐다.
정부정책을 믿고 군공항이전과 함께 대구경북 통합신공항을 추진하던 지역으로서는 참으로 황당하기 짝이 없는 일이 벌어진 것이다. 심한 배신감과 분노를 느꼈지만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건설을 멈출 수는 없다.
가덕도 신공항이 특별법 제정과 정부의 엄청난 지원으로 추진된다면 대구경북 통합신공항도 그만한 수혜를 받아야 한다, 그것이 특별법 제정을 바라는 시도민의 생각이다.
지난 2월 국회에서 가덕도 특별법을 제정하면서 대구경북을 보류한 것도 납득이 되지 않는 일이다. 가덕도 신공항과 달리 대구경북 통합신공항이 법적 차별대우를 받을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통합신공항은 대구경북 성장의 거점이 될 민간공항으로 지어져야 한다. 그러기 위해선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반드시 필요하다. 서명서 제출을 계기로 통합신공항 문제를 재점화하는 지역정치권의 분발이 있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