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에 대한 초강력 거리두기 4단계 조치 시행에도 1주일 연속 하루 1천명대 신규 확진자 발생이 이어지고 있다.
보건당국은 이런 추세라면 8월 중순까지 하루 2천300명까지 확진자가 늘어날 수 있다고 말하고 있다. 수도권에서 80% 이상 발생하던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지금은 비수도권으로 세를 넓혀가는 추세가 뚜렷하다. 하루 1천명대 신규 확진자가 처음 발생했을 당시 15.2%이던 비수도권 비중이 13일 현재는 27.6%까지 높아졌다. 확진자 수로 보면 거의 3배 가량 늘었다. 대구와 경북 등 비수도권 모두가 확산세 방지에 비상한 각오가 있어야 할 때다.
부산과 대전에 이어 제주, 충남이 거리두기를 2단계로 높였다. 하지만 대다수 지방도시는 여전히 1단계 거리두기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대구시가 15일부터 2단계로 격상할 계획이나 2단계로 상향한다 해도 8인 모임이 가능하고 식당과 유흥시설의 이용시간은 밤 11시까지 허용된다.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이같은 거리두기 언밸런스로 수도권 시민이 주말을 이용해 규제가 약한 지방으로 빠져나올 가능성이 많다. 특히 7월 휴가철을 앞두고 있어 원정 유흥과 함께 피서객들이 비수도권 쪽으로 몰리면서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의 확산세를 더 키울 가능성이 농후하다.
대구에서도 밤 12시까지 영업이 가능한 주점 중심으로 확진자가 늘고 있다. 12일 0시 기준으로 37명의 신규 확진자가 발생한 대구는 그 중 15명이 유흥주점과 일반주점 관련 확진자로 밝혀졌다. 이들 확진자의 최초 감염은 수도권 확진자에서 시작된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발 감염세가 전국적으로 기세를 넓히고 있는 현상으로 보인다.
수도권과 비수도권간의 거리두기 언밸런스로 원정 유흥과 같은 풍선효과는 당분간 이어질 분위기다. 거리두기 단계 조정을 서둘되 보다 정교한 방역조치들이 필요하다. 문재인 대통령은 수도권 4단계 조치와 관련해 “짧고 굵게 상황을 조기에 타개하겠다”고 밝혔다. 과연 대통령의 말대로 지금의 코로나19 사태가 짧게 끝날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델타 변이가 급속히 확산되고 경로를 알 수 없는 신규 확진자 수도 크게 치솟고 있다. 4차 대유행이 이미 비수도권까지 넘어온 수준이다. 백신접종을 앞당기고 정교하고 강력한 조치로 코로나 조기 종식을 이끌어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