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구미코컨벤션센터에서 열리는 ‘낙동강 통합물관리방안 구미지역 설명회’에 맞춰 구미시 범시민반대추진위가 대구취수원 해평 취수장 공동 이용을 반대하는 기자회견을 열 예정이라고 한다. 대구시민들은 지난달 24일 낙동강유역물관리위원회가 낙동강 유역 먹는 물 불안 해소를 위해 2028년까지 취수원을 다변화하고, 고도정수처리한 물을 대구와 경북에 배분하도록 하겠다고 한 발표가 혹시 백지화되지나 않는지 우려하고 있다.
구미시 범시민반대추진위는 지난 12일 구미시청 본관 앞에서 “취수원 이전을 찬성하는 것은 돈 100억원에 구미시 전체를 팔아먹는 짓이다. 주민 동의가 없는 취수원 이전은 절대 받아들일 수 없다”며 낙동강유역물관리위원회 결정에 반발했다. 이들은 이날 대구취수원 해평취수장 공동이용에 찬성하는 ‘해평면 상생주민협의회’와 충돌을 빚기도 했다. 해평면 협의회는 이날 “40만 구미 시민 중 자식이나 형제, 자매가 대구에 살지 않는 사람이 몇이나 되는가. 구미에 조금이라도 피해가 있다면 반대할 수 있지만 아무 피해가 없는데 이웃의 사정을 헤아리지 않고 반대를 위한 반대를 해서는 안된다”고 주장했다.
대구 취수원 이전 문제가 구미시민 간의 갈등으로 비화하고 있는 것은 안타까운 일이다. 권영진 대구시장도 최근 밝혔듯이, 30년 전인 1991년 발생한 페놀유출사고 이후 대구시민들은 수돗물 안전성에 대해 극도로 불안감을 가지고 있다. 식수원인 낙동강 취수원이 여전히 대규모 산업단지 바로 하류에 위치해 있어 수질오염사고가 언제든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대구시민들은 구미시민들이 끝까지 낙동강 상류에 있는 구미 해평취수장 공동 이용을 거절한다면 구미산단의 폐수가 더는 낙동강을 통해 대구 식수원을 오염시키지 않도록 조치해 달라고 정부에 수차례 건의해 왔다.
대구취수원 이전 문제는 대구시민들의 건강, 나아가서는 생명과 직결된 것이어서 더이상 숙제로 남겨둬선 안 된다. 정부(낙동강유역물관리위원회)의 공식적인 결정도 발표된 만큼 대구 취수원 이전 문제는 이번에 반드시 종결돼야 한다. 환경부와 대구시, 구미시가 구미 지역민들의 반대 의견을 꼼꼼하게 듣고 해결책을 찾아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