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릉도 및 동해안에서 잘 서식하지 않는 최고급 횟감인 범가자미를 대체 어종을 개발 울릉도 및 동해안 어민소득증대에 이바지하기 위한 사업이 진행된다.
경상북도 어업기술센터 영덕지소는 넙치와 강도다리에 편중된 경북 동해안 육상양식장의 대체 어종 개발을 위해 식감과 맛이 좋을 그뿐만 아니라 가격면에서도 비싸게 유통되는 범가자미의 시험양식을 시작한다.
영덕지소는‘동해안고소득양식어종개발’과제로 ‘범가자미’를 2020년도 시험양식 품종으로 채택, 울진지역 수산종자생산업체와 협력사업으로 동해안 지역 최초로 범가자미 인공종자 생산에 성공했다.
이에 따라 올해부터 양성시험에 착수했다. 지난해 생산된 범가자미 치어 1천마리(체장 25㎝, 체중 250~400g)는 어미로 사용하고자 사육관리 중에 있다.
올해는 범가자미 종자생산이 안정화됨에 따라 생산된 범가자미 치어 2만 마리로 양성시험에 착수, 내년까지 양성기술 개발에 주력할 계획이다.
범가자미는 주로 우리나라 서해 및 서·남해에 서식하며, 전장 60㎝, 체중 5kg까지 성장하는 대형종으로 자연에서 포획되는 개체 수가 극히 일부에 불과하고, 일본에서도 노랑가자미와 함께 최고급 횟감으로 손꼽힌다.
육질이 탄탄하고 저수온에 견디고자 온몸에 고루 퍼져 있는 지방이 진한 단맛을 낸다고 한다. 또한, 저수온에도 강해 수온 10~15℃에서도 먹이를 잘 먹음으로써 겨울철 양식가능 어종으로서 울릉도 등 경북 동해안에 적합한 어종이기도 하다.
이영석 경북도 해양수산국장은 “경북 동해안에서 양식 가자미류는 연간 1천179t 전국 생산량의 55%를 차지하는 주요 양식품종이지만 지속적인 출하 단가 하락과 단일 품종에 편중돼 과잉생산의 위험성 있다”고 말했다.
“뿐만 아니라 국내외적으로 경쟁력 저하를 가져올 수 있다.”라며 “이번 범가자미 종자생산 성공 및 양성시험을 계기로 양식품종 다양화 및 고급어종 개발로 어업인 소득증대와 어류양식 산업화에 기여하겠다” 고 말했다.
/김두한기자kimdh@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