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울릉도 사동 해상 ‘죽도’보다 두 배 큰 섬…울릉공항 건설 순조롭게 진행

김두한 기자
등록일 2021-06-15 13:33 게재일 2021-06-15
스크랩버튼
울릉공항 조감도
울릉공항 조감도

울릉공항이 완공되면 울릉도 사동리 해상에 죽도보다 더 큰 섬이 생긴다. 울릉공항건설이 순조롭게 진행 진행되면서 울릉군민들의 꿈도 함께 키워가고 있다.

울릉도 사동 앞바다는 울릉공항 활주로를 만들고자 울릉도에서 가장 큰 부속도서인 죽도(면적 20만 7,818㎡)보다 두 배 이상의 큰 42만 9천45㎡ 면적의 섬을 만들고 있다.

울릉공항은 애초보다 더 큰 규모로 울릉읍 사동리 울릉(사동) 항 동방파제와 같은 방향으로 바다를 메워 건설하기 때문에 큰 섬이 만들어지는 것이다.

울릉(사동)항 방파제와 연결돼 건설되는 울릉공항 3척의 바지선이 사석을 투하하고 있는 장면
울릉(사동)항 방파제와 연결돼 건설되는 울릉공항 3척의 바지선이 사석을 투하하고 있는 장면

섬의 규모를 죽도와 비교하면 규모가 어느 정도인지 짐작할 수 있다. 활주로를 만들고자 메워지는 규모는 어마어마하다.

죽도의 두 배 이상 면적은 물론, 공항 전체길이 3.2km(활주로 길이 1.41km), 해수면 폭 400m규모다. 활주로의 전체 폭은 278m, 해수면에서 높이 23m규모의 섬이 울릉읍 사동 해상에 생긴다.

울릉공항은 태풍 등 높은 파도의 월파로부터 공항시설물을 보호할 수 있도록 건설된다. 내파 안전성 강화를 위해 200년 이상 치수 안전도를 확보하는 설계파( 항만 및 해안 구조물 설계에 적용하는 파랑)를 적용했다.

사석을 투항하고 있다.
사석을 투항하고 있다.

또한, 구조물 내구성과 기초 안전성을 위해 해수 소통구를 견고한 지반에 배치하고 염해 내구 수명을 200년 이상 확보한다. 이와 함께 침하 안전성 강화를 위해 매립지반 과재 상향 및 특수 다짐 공법으로 시공된다.

울릉공항이 완공되면 울릉(사동) 항은 동해안에서도 가장 안전한 항구로 바뀌게 된다. 울릉 항 바깥 부문에 죽도 규모의 2개의 섬이 버티게 된다. 따라서 태풍에도 전혀 피해를 보지 않는 항구로 재탄생하는 것이다.

울릉공항의 현재 공정률은 7.47%(6월10일 현재) 정도다. 분야별 기반건설은 50%~70%가 넘는 것도 있다. 물속에 들어갈 사석 투하는 총 118만 1천870㎡ 중 9만 1천55㎡ 투하 7.7%의 공정을 보이고 있다.

바닷속에 투하된 사석 위에 거치될 케이슨을 제작하고 있는 모습(포항신항만)
바닷속에 투하된 사석 위에 거치될 케이슨을 제작하고 있는 모습(포항신항만)

바닷속에 투하된 사석 위에 거치 될 케이슨(시멘트 대형 구조물)은 포항신항만에서 제작되고 있다. 총 19만 1천648개 중 14만 천793개를 제작 77.1%, 블록제작 5천167개 중 358개 6.9%의 공정을 보이고 있다.

특히 바다를 메우는 일부 사석을 사용하고 공항터미널, 계류장을 건설하고자 가두봉을 절개해야 하지만 섬 일주도로가 가두봉 아래를 개설돼 있다.

이에 따라 우회도로를 터널로 개설하는 가운데 총 터널길이 453m 중 현재 231.4m를 굴착, 공정률 51.5%를 보이고 있다. 8월 말께 관통하고 내년 초에서 차량운행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블럭 제작 현장
블럭 제작 현장

울릉공항은 국내 최초로 해상에 건설되는 공항으로 바다를 메워 건설된다. 국토교통부 부산지방항공청이 발주를 했고 발주방식은 기본설계 기술제안방식이며, 2020년 11월부터 2025년 12월까지(60개월) 총사업비 6천651억 2천100만 원(부가세포함)이 투입된다.

울릉공항은 활주로 길이 1천200m, 폭 36m 규모로 계류장 6대 주기로 건설된다. 공항터미널, 계류장 시설은 공항공사가 따로 발주한다.  결항률(26.0%→8.7%)을 줄이고자 착륙대를 기본계획 폭 80m를 60m 더 넓혀 140m로 변경했다.

울릉공항은 애초 조종사가 지형을 보고 항공기를 조종하는 시계비행시설에서 계기 정밀로 착륙하는 방식으로 바꿨다, 따라서 결항률이 많이 줄어들고 안전한 공항으로 건설된다.

터널 공사 현장
터널 공사 현장

항공기가 어둠이나 안개 따위로 앞이 보이지 않는 항로를, 항공기에 장착된 계기에만 의존해 항공기의 자세 · 고도 · 위치 및 비행 방향을 측정해 비행할 수 있다.

울릉공항은디엘이앤씨(44%), 영진 종합건설(15%),삼환기업(7%),고덕종합건설(7%),경우크린텍(6%),백송건설(6%),소노인터내셔(5%),신흥건설(5%),퐁창건설(5%)등이 컨소시엄으로 공사를 진행하고 있다.

건설사업관리단으로 한국종합기술(55.57%) 세일종합기술(11.11%) 경원엔지니어링(16.66%), 수성엔지니어링(16.66%)이 참여하고 있다.

우회도로는 울릉읍 사동리 울릉(사동)항 시멘트 사이로 뒤편에서 굴착되고 있다.
우회도로는 울릉읍 사동리 울릉(사동)항 시멘트 사이로 뒤편에서 굴착되고 있다.

울릉공항이 완공되면 서울에서 1시간 대 울릉도에 도달할 수 있어 울릉도관광객이 많이 증가하는 것은 물론 울릉주민 정주 여건이 크게 개선되고 독도영토주권 수호에도 큰 몫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김병수 울릉군수는 “울릉공항 건설이 시작부터 착공하기까지 39년이 걸렸다. 이제 본격적인 공사에 들어간 만큼 기한 내 완공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노력하겠다”며“접근성이 크게 향상돼 관광객의 증가로 울릉도 경제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두한기자kimdh@kbmaeil.com

동부권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