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까지 지역 특성 반영 ‘스마트 도시 서비스’ 6개 중점분야 추진
27일 군에 따르면 도시문제 해결과 도시 경쟁력 확보, 시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수립됐다.
지금까지 국토교통부의 스마트도시계획 승인은 대도시 위주의 스마트 도시계획에 대한 승인으로 이뤄졌다.
스마트도시계획은 올해부터 2025년까지 스마트도시 건설을 위해 지역적 특성 및 여건 분석, 스마트도시 건설의 비전과 추진전략 등에 스마트도시 기반시설의 조성 및 관리·운영에 관한 사항, 인접 도시 간 상호 연계 및 협력에 관한 사항 등 스마트 도시건설에 필요한 전 분야를 포함 시켰다.
지역적인 특성을 고려한 ‘스마트도시 서비스’는 3개 부분(미래·사람·자연을 생각하는 도시), 6개 중점분야로 스마트 관광, 산업(스마트 전통시장, 농산물 이력관리 시스템, 스마트 팜), 안전(스마트시트 통합플랫폼, 스마트 홍수관리 시스템), 복지(스마트 방문간호 서비스, 온마을 같이돌봄 서비스, 디지털 포용 교육지원 서비스), 스마트 교통, 정주환경(쓰레기 수거 관리시스템, 스마트 공원) 등 12개의 스마트도시 서비스를 구축하기 위한 중장기 로드맵이 담겨 있다.
곽용환 군수는 “이번 국토교통부의 스마트도시계획 승인을 기반으로 향후 5년간 스마트도시 조성을 위한 큰 밑그림이 완성됐다”며 “앞으로도 중앙정부의 다양한 국비지원 사업에 적극 참여해 제시된 서비스모델들을 하나하나 챙겨 나가겠다”고 말했다. /전병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