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장유유서 논쟁

등록일 2021-05-27 19:52 게재일 2021-05-28 19면
스크랩버튼

장유유서(長幼有序)란 유교사상에서 말하는 인륜의 기본인 다섯 가지 덕목 중 하나다. 어른과 어린이 사이에 순위와 질서가 있어야 올바른 사회가 유지될 수 있다는 뜻이다.

인륜적 가치인 윤리 개념인 장유유서가 정치판에 소환되면서 논쟁이 벌어졌다. 정세균 전 국무총리가 한 라디오 방송에 출연, 국민의 힘 당 대표 경선에서 두각을 보인 이준석 돌풍을 두고 장유유서 문화를 언급했다가 젊은 층으로부터 “꼰대 같다”는 비난을 들었다. “좋은 정치를 하는데 나이가 무슨 소용이냐” 등 비판이다.

정 전 총리는 즉각 해명에 나섰다. “당 대표 자리는 대선 관리도 해야 하는 등 경험과 경륜이 필요하다는 의미”라 설명하고 “국민의 힘 경선에서 나타난 젊은 층 돌풍은 새로운 변화를 요구하는 긍정적 현상”이라 덧붙였다.

제1야당 대표 선거에서 0선의 30대 주자인 이 전 최고위원이 예상을 뒤엎고 다선의원 등을 제치고 돌풍을 이어가자 언론이 본격 조명하고 나섰다. 본지 조사에서 이 전 위원은 압도적 선두를 달렸고 다수의 여론조사기관에서도 지지율 30%를 넘겼다. 대세론도 등장했다. 비록 당심은 알 수 없다 하지만 30대 야당 대표 등장이 현실화되는 것 아니냐는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원희룡 제주지사는 자신의 페이스북에서 “누가 더 빨리 누가 더 많이 변하느냐의 싸움이다”라고 말했다. 국민의 힘 당 대표 경선에서 나타난 젊은 세대 돌풍은 당 내부 혁신을 바라는 당심을 넘어 정치권 전반에 대한 세대교체 물결로 파장을 넓혀가는 모양새다.

“장강의 뒷물이 앞 물을 밀어낸다”고 했다. 급변하는 시대 흐름에 지금 우리가 교훈 삼아야 할 것은 장유유서가 아닌 “후학이 두렵다”의 후생가외(後生可畏)가 아닐까하는 생각이 든다. /우정구(논설위원)

팔면경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