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접지불제 3천659억원 등<br/>농업분야 9천226억원 편성
경북도의 올해 농업 분야 예산이 9천억원을 돌파하면서 도내 농·어촌 경제가 활기를 띨 전망이다.
경북도는 5일 올해 도 농업 분야 예산이 지난해 7천562억원보다 22%(1천664억원)나 늘어난 9천226억원이 편성됐다고 밝혔다. 이는 당초 예산으로는 최초로 9천억원을 돌파해 1조원 시대를 눈앞에 뒀다. 올해 경북도의 주요 농업예산은 △디지털·그린 인프라 확충 △농촌 생활여건 개선 △농식품 유통구조 개선 △농가 소득 안전망 구축 등에 초점을 두고 있다.
우선 통합신공항 조기정착을 위한 ‘경북형 뉴딜’ 사업에 296억원이 편성됐다. 경북도는 스마트팜 혁신밸리(102억)를 비롯해 노지 스마트농업 시범사업(84억), 스마트원예단지 기반조성(18억), 스마트축산 ICT시범단지 조성(7억), 축산분야 ICT 융복합 확산 사업(43억) 등을 추진한다. 또 축분고체연료 생산 및 활용기반 조성(29억), 곤충원료 전처리·가공시설 및 유통 활성화(13억) 사업도 지원한다. 아울러 경북도는 3천688억원을 들여 안심하고 농업경영에 종사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고 농업의 공익적 기능 유지 확산에 나선다. 예산의 대부분은 공익증진 직접지불제(3천659억)에 투입된다.
구체적으로 농촌 일손부족 문제를 해결해 안정적 농업 생산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농촌인력센터 지원, 농작업 대행 지원, 농기계 임대사업소 지원, 농기계 구매비 지원, 벼 재배·과수생력화 장비 지원 등에 147억원을 지원한다. 이어 ‘청년 농업’에 130억원을 편성해 귀농·귀촌 유치 지원, 농업계고 영농정착 지원, 농업계고 졸업생 창업비용 지원, 청년 농업인 영농정착 육성 지원, 농촌 영유아 보육시설 운영 등의 사업도 펼친다.
이외에도 △초·중·고 무상급식(162억원) △친환경농산물 학교급식(53억원) △초등돌봄교실 과일간식(7억원) △학교우유급식 지원(48억원) △농촌중심지 활성화 사업(552억원) △기초생활거점 육성(422억원) △농촌 신활력 플러스 사업(196억원) △청년 농촌보금자리 조성사업(19억원) 등이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코로나19로 어려움에 부닥친 농업·농촌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 제값 받고 판매 걱정 없는 농업, 다 함께 잘사는 농촌을 만들기 위해 다양한 신규 시책과 지원정책을 발굴하고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손병현기자why@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