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독경제는 신문이나 잡지를 구독하는 것처럼 일정액을 내면 사용자가 원하는 상품이나 서비스를 공급자가 주기적으로 제공하는 신개념 유통서비스를 말한다.
국내에는 2010년대를 전후해 도입되기 시작, 초반에는 화장품이 주를 이루었으나 점점 생활용품, 홈쇼핑, 식음료, 명품의류 등으로 다양해지고 있다. 최근에는 매달 일정금액을 지불하면 정해진 몇몇 차량 중 원하는 차량을 골라 바꿔가면서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도 생겼다. 소비자 입장에선 전문지식을 갖춘 구매담당이 소비자 대신 우수한 제품을 선정해 전해주기 때문에 상품을 고르기 위해 쓰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공급자 입장에서도 사용자의 요구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래서 공유경제의 뒤를 잇는 경제모델로 각광받고 있다. 더구나 포털업체인 카카오가 카카오톡 채널을 기반으로 상품구독 서비스를 새롭게 시작하면서 구독경제 플랫폼을 구축하겠다고 선언해 화제다. 공유 경제에 이어 구독경제로 변화하고 있는 전 세계적인 트렌드에 발맞춘 행보다.
카카오톡에서는 렌탈, 정기배송 등의 방법으로 상품을 구독하는 방식으로 구현되며, 제품 설명·방문 예약·구매 결정·계약서 작성 등 기존 오프라인 기반으로 운영되던 복잡하고 번거로운 절차들이 카카오톡에서 빠르고 편리하게 간소화된다. 이용자는 관심있는 브랜드의 카카오톡 채널에서 상품 정보를 얻고 회원가입부터 신용조회, 전자서명 및 계약, 결제에 이르는 모든 과정을 몇번의 클릭으로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김치냉장고 렌탈을 시작으로 연내 바디프랜드, 아모레퍼시픽, 위닉스, 한샘 등의 렌탈·정기배송 상품을 구입하거나 렌탈할 수 있다. 구독경제 플랫폼은 이미 우리 삶에 깊이 들어와 있는 듯하다. /김진호(서울취재본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