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옥(玉)이라는 새

등록일 2020-08-31 18:57 게재일 2020-09-01 18면
스크랩버튼
김현욱 시인
김현욱 시인

대표적인 우화(寓話)로 ‘이솝이야기’가 있다. 동식물이나 사물을 주인공으로 삶의 의미를 풍자하거나 암시적으로 나타낸다.

동양의 철학자들도 우화를 즐겼다. 장자(莊子)가 특히 그렇다. 장자 ‘지락(至樂)’편에 나오는 ‘바닷새 이야기’를 소개한다.

“옛날 바닷새가 노나라 서울 밖에 날아와 앉았다. 노나라 임금은 이 새를 친히 종묘 안으로 데리고 와 술을 권하고, 아름다운 궁궐의 음악을 들려주고, 소 돼지 양을 잡아 푸짐하게 대접하였다. 그러나 새는 어리둥절해하고 슬퍼하기만 할 뿐, 고기 한 점 술 한 잔 마시지 않은 채 사흘 만에 시름시름 앓다가 죽어버렸다. 이것은 사람을 기르는 방법으로 새를 기른 것이지, 새를 기르는 방법으로 새를 기르지 않은 것이다.”

사람의 자리에 ‘나’를, 새의 자리에 ‘너’를 넣으면 이야기는 분명해진다. “나는 나의 방식으로 너를 길들이려 한 것이지, 너의 방식으로 너를 위한 것이 아니다.”라는 뜻이다. 인간은 누구나 이기적이다. 그것이 생명의 모태(母胎)이기 때문이다. 동시에 이타적이다. 그래야만 살아갈 수 있기 때문이다. 이기(利己)와 이타(利他)의 어디쯤에 서야 우리는 행복해질까?

그림책 ‘내 친구 꼬마 벌’(엘리슨 제이, 국민서관)에는 소녀 데이지와 꼬마 벌이 등장한다. 데이지는 갑자기 나타난 꼬마 벌을 무서워하지만, 지친 꼬마 벌을 측은지심(惻隱之心)으로 돌봐준다. 그러면서 데이지가 하는 행동이 의미심장하다. 책을 좋아하는 데이지는 꼬마 벌이 무엇을 좋아하고 싫어하는지 알기 위해 ‘벌에 관한 책’을 찾아 읽으며 공부한다.

나는 이 장면에서 노나라 임금을 떠올렸다. 바닷새가 무엇을 원하고 원하지 않는지 노나라 임금은 알려고 하지 않았다.

장자의 ‘바닷새 이야기’에 데이지가 등장했더라면, 아마도, 데이지는 바닷새를 우선 쉬게 하고, 바닷새가 무엇을 좋아하고 싫어하는지, 공부(대화)했을 것이다. 그러면, ‘바닷새 이야기’는 결말이 달라졌을 것이다. 엉성하지만 나도 우화 한 편을 썼다. 여기서 어떤 의미를 짚어낼 지는 자신의 몫.

“옛날에 옥(玉)이라는 새가 살았다. 아름다운 자태와 매혹적인 노래로 뭇 나무들의 사랑을 받았다. 옥(玉)이라는 새는 그 어디에도 머무르지 않고 여기저기를 떠돌았다. 그러던 어느 날, 화마(火魔)에 그을린 이팝나무를 보았다. 크고 힘센 나무에만 잠시 내려앉았던 옥(玉)이라는 새는 이팝나무가 가여웠다. 난생 처음으로 지켜주고픈 마음이 들었다. 옥(玉)이라는 새는 이팝나무 곁에 머물며 벌레를 잡아주고 노래를 불러주었다. 기운을 차린 이팝나무는 쌀밥 같은 하얀 꽃송이를 피어 올렸고, 옥(玉)이라는 새는 그 모습을 즐거워했다. 하지만 그럴수록 서로는 불안하고 혼란스러웠다. 옥(玉)이라는 새는 정주(定住)하여 둥지를 트는 것이 두려웠다. 이팝나무는 옥(玉)이라는 새가 멀리 날아 가버릴 것 같아 불안했다. 이는 각자의 본성(本性)과 순리(順理)를 따르지 않고, 사랑이라는 미혹(迷惑)으로 자신의 욕망을 채우고자 했기 때문이다.”

아침산책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