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태양 프로젝트는 핵융합을 이용해 미래에너지원인 ‘인공태양’을 만드는‘국제핵융합실험로’(ITER) 프로젝트를 가리킨다. 핵융합 실험로는 중수소와 삼중수소를 연료로 사용해 초고온의 플라스마를 생성해 자기장을 활용해 가두는 장치로, 태양처럼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는 환경을 재현한다. 한국, 미국, 러시아, 유럽연합(EU), 일본, 중국, 인도 등 세계 7개국이 참여한 가운데 최근 한국이 핵융합 장치의 주요 부품 중 하나인 진공 용기를 참가국 최초로 제작하는데 성공해 화제다.
지난 4월 ‘ITER 한국 사업단’은 핵융합의 연료인 플라즈마를 가두는 진공 용기 본체를 담당국 최초로 제작했고, 완성된 진공 용기는 6월 프랑스로 운송됐다.
ITER 국제공동 프로젝트는 1985년 미국과 당시 소련이 핵융합 분야 협력을 선언하면서 비롯됐다. 자원 고갈과 환경 오염에서 자유로운 에너지를 개발하기 위해 핵융합에너지의 실용화 가능성을 검증하는 초대형 국제협력 연구개발(R&D) 프로젝트로, 한국은 2003년부터 가세했다. 이번 조립착수 5년 후인 2025년 시험 가동이 목표다.
인공 태양은 핵융합을 통해 바닷물 1리터로 휘발유 300리터에 해당하는 에너지를 생산한다. 인공태양 프로젝트는 우주의 핵융합을 지구에서 실현하려는 것으로, 태양이 1초 동안 만들어 내는 에너지는 지구의 모든 발전 용량보다 무려 1조 배나 많은 양이다.
핵융합이 이뤄지면 바닷물에 들어 있는 중수소 연료 1그램으로 석유 8톤에 해당하는 에너지를 얻을 수 있다. 더구나 환경 오염 물질을 전혀 배출하지 않는 청정에너지원이다. 인공태양 프로젝트가 에너지고갈 사태에 직면한 인류에게 희망이 되길 기원한다.
/김진호(서울취재본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