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포항지진 진상조사위 활동에 거는 기대

등록일 2020-06-15 18:47 게재일 2020-06-16 19면
스크랩버튼
포항지진특별법에 의거해 출범한 국무총리 소속의 포항지진 진상조사위원회가 12일부터 본격적인 진상조사 활동에 나섰다. 진상조사위는 조사위 구성 후 처음으로 12일 포항을 방문, 포항지진촉발의 원인이 됐던 포항지열발전소 부지와 지진으로 피해를 입은 흥해읍 대성아파트 현장을 찾았다.

또 포항시청에서는 비공개로 주민의견 청취회도 가졌다. 이 자리에는 포항시민을 대표해 포항시의회 의원과 포항지진 관련 시민단체 대표 등이 참석했다고 한다.

지난 2017년 11월 15일 발생한 포항지진은 규모 5.4로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지진 가운데는 두 번째로 큰 지진이었으며 피해 규모는 역대 지진 중 가장 컸다.

시설물 피해규모가 2만7천여 건, 3천323억 원에 달했으며 이재민 1천800명을 발생시켰다. 인명 피해도 135명에 이른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포항지진은 정부조사단의 조사결과, 포항지열발전의 실증연구에 따른 촉발지진으로 확인돼 파장이 컸다.

자연재해가 아닌 인재에 의한 지진으로 확인돼 포항시민이 입은 충격은 실로 컸다. 특히 지열발전소 운영과정에서 여러 번 피해를 줄일 수 있는 기회가 있었음에도 정부의 관리부실로 포항시민에게 피해를 안겼다는 점에서 포항시민의 분노를 샀다. 그럼에도 포항지진특별법은 지진발생 2년이 다 됐어야 겨우 국회를 통과했다. 이는 포항지진에 대한 정부여당의 미흡한 인식을 반영한 것으로 밖에 이해되지 않는다. 지역민의 반감이 높을 수밖에 없었던 이유다.

그러나 우여곡절 끝에 포항지진 진상규명과 피해보상에 관한 특별법이 만들어짐으로써 피해자인 포항시민의 기대감은 이제 한층 높아져 있다.

포항지진 진상조사위의 포항방문은 이런 측면에서 시민의 관심을 끌기에 충분하다. 진상조사위 이학은 위원장은 “주민 목소리를 적극 반영해 전문성과 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객관적이고 공정한 진상 조사를 하겠다”고 했다. 포항시민이 바라는 바는 명명백백한 원인규명과 실질적 피해 배보상이다. 포항지진으로 아직 집으로 돌아가지 못한 이재민은 물론 포항시민이 지진으로 받았던 물질적 정신적 충격은 말로 다할 수 없다. 진상조사위의 조사가 포항시민의 깊은 상처를 보듬어 줄 수 있는 결과로 이어진다면 그나마 다행일 것이다.

김경아의 푸른 돋보기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