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전당대회가 다가오면서 ‘친문’ 인사들의 비공개 모임으로 알려진 ‘부엉이 모임’이 화제가 되고 있다.
일부 여당 의원들이 문재인 대통령을 보호하겠다며 만든 모임의 이름이 바로 ‘부엉이’다. 문재인 대통령의 ‘성’인 ‘문’은 영어로 발음하면 ‘달’(Moon)이 된다. 부엉이는 이런 달이 뜬 밤중에도 부엉이처럼 깨어서 문 대통령을 지키자는 의미를 담은 모임명이다. 적게는 20여명 많게는 40여명으로 추산되는 민주당 의원들이 참여하고 있는 이 모임은 20대 총선 후 문재인 정부의 성공을 돕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자며 일부 친문 의원들이 중심이 돼 만든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은 최근에도 신입 회원을 받는 등 마포 일대를 중심으로 꾸준히 모임을 이어나가고 있다.
부엉이 모임에 때 아닌 관심이 쏟아지자 박범계·전해철 의원 등 소속 의원들은 단순한 친목모임일 뿐이라며 해명하고 나섰다. 이들은 뜻이 맞는 의원들끼리 모여 식사를 하면서 여타 다른 모임처럼 봉사활동을 하자거나 나라를 위해서 무엇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고민 등의 얘기가 오간다고 설명했다. 또 지난 해 대선에서 모든 민주당 의원들이 합심해 문 대통령의 당선을 도왔듯 문재인 정부의 성공을 도모하자는 것은 여당의원으로서 전혀 문제될 것이 없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국회의원은 행정부를 견제하고 감시하는 입법부 소속이자 한 명 한 명이 모두 헌법기관이다. 대통령과 정부의 성공을 기원하고 돕겠다면 입법과 예산 등 의정활동을 통해 정부의 정책을 뒷받침하면 될 일인데, 현역 의원들이 따로 주기적으로 모여 문 대통령을 돕자는 취지의 대화를 나눴다면 의원들 스스로 당청 간 수평적인 관계를 포기하고 청와대에 예속되려 한다는 비판을 피하기 힘들다. 이런 모임은 추후 계파 정치의 씨앗이 될 우려가 있다. 새로운 정치적·사회적 변화를 요구하는 촛불 민심에 힘입어 정권을 교체했는데, 권력자 중심의 구태 정치로 회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민주당내에서도 YS, DJ 등 지도자를 중심으로 그 뒤를 졸졸 따라다니던 20~30년 전의 구태정치로 돌아가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도 그 때문이다. 여야를 막론하고 서로 편가르기 하는 정치문화는 떨쳐버려야 한다.
/김진호(서울취재본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