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2 북미 정상회담<br />풍계리 핵실험장 폐쇄 등<br />국내외 대형 쟁점에 쏠리는<br />유권자들 시선에 냉가슴<br />
“요즘 선거철 맞습니까? 도무지 사람들이 선거에 관심이 없어요.”
대구·경북지역에서 선거운동을 하느라 이리저리 뛰고 있는 당직자들의 한결같은 하소연이다. 20여일 뒤면 다가운 대구·경북(TK)를 이끌 단체장과 교육을 책임질 교육감을 뽑는 선거가 다가온다. 대구시장과 경북도지사 등 광역단체장을 비롯해 기초의원 등 지역일꾼을 뽑는 매우 중요한 선거다. 문재인 대통령이 집권한 지 1년여 만에 치러져 정부에 대한 중간평가 성격이 있는 데다 다음 총선까지 정치 지형에 큰 영향을 미치는 만큼 여야가 총력전을 펼칠 수 밖에 없다. 지방선거 결과에 따라 각 정당 지도부의 거취 등에 변화가 생기기 때문이다.
자유한국당은 필승결의대회를 하는 등 선거 체제로 본격 전환하며 민생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한국당 홍준표 대표같선거를 결정하는 요소는 민생”이라고 말할 정도다. 민주당도 문재인 정부의 고공행진을 발판으로 지방선거 압승을 자신하고 있다. 바른미래당 등도 조만간 공천을 완료할 방침이다.
그러나 선거 열기는 좀처럼 달아오르지 않고 있다. 연이은 남북·북미정상회담이 가장 큰 요인이다.
드루킹 특검, 국회 파행 등 굵직굵직한 쟁점은 정상회담과 함께 수면 아래로 잠겼다. 오히려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 간의 남북정상회담, 풍계리 핵실험장 폐쇄 장면 등만이 부각될 뿐이다. 엎친 데 엎친 격으로 지방선거 하루 전날인 6월 12일 북-미 정상회담이 예정돼 있다.
이로 인해 대구시장과 경북도지사 선거도 자연스레 유권자들의 관심 속에서 멀어지고 있다. 한국당 역시 지방선거 주도권 잡기 위해 남북정상회담 등을 평화쇼라고 주장하고 있지만 오히려 역효과를 보고 있다.
지방선거에 출마하는 한국당 후보들도 답답할 뿐이다. 이슈를 부각시키고 어젠다를 설정하기가 어려워졌다. 남은 선거기간 동안 북미회담에 맞춰질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지방선거에 뛰어든 한국당 후보들은 그 틈을 비집고 인물과 공약을 알리며 유권자의 시선을 붙잡아야 하는 처지가 됐다.
박원순 서울시장 등을 비롯해 민주당 소속 후보들은 상대 후보와의 설전을 피하면서도 조용한 선거전을 치르는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 실제 바른미래당 안철수 후보가 박 시장을 겨냥했지만 별다른 반응을 내놓지 않는다. 진흙탕 싸움으로 선거판을 이끌지 않아도 충분히 승리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다.
특히 TK지역에 출마한 여당 후보들도 문재인 정부의 평화모드와 문재인 정부의 고공행진 지지율에 기대고 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TK지역에서는 민주당 비례대표들이 얼마나 입성할 지가 관심사다.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리얼미터가 10일 발표한 여론조사 결과(TBS의뢰, 지난 8∼9일 전국 성인 1천1명 대상, 95% 신뢰수준, 표본오차±3.1%포인트, 리얼미터 또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고)를 보면 TK 지역에서 한국당 지지율은 34.7%로 민주당(40.0%)에 뒤졌다. 정당 지지율이 높으면 비례대표 의석수를 많이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TK지역에서 민주당 비례대표들이 대거 탄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그러나 TK지역 기초단체장 선거는 한국당 공천에 반발한 무소속과 일부 여권 후보들이 한국당 독점구도를 깰지 여부가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대구 남구와 달성군을 비롯해 경주, 울릉, 안동, 예천, 상주, 울진 등에서 한국당과 무소속 후보 간 대결이 뜨겁다.
/박형남기자 7122love@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