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합동조사 중간결과 발표…"우려할 수준 아냐"
포항지진으로 인한 액상화 현상을 두고 우려할만한 수준은 아니라는 정부조사 결과가 나왔다.
행정안전부는 1일 서울정부청사에서 ‘포항 지진 액상화 관련 중간조사 결과 브리핑’을 열고 “포항 지역 10곳을 시추조사해 이 가운데 5곳을 분석한 결과 망천리 논 1곳에서 액상화 지수가 ‘높음’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그러나 조사 내용과 전문가 자문 결과를 종합하면 우려할만한 수준은 아니라고 강조했다.
액상화 현상이란 물에 포화된 느슨한 모래 지반에 지진과 같은 진동이 가해짐에 따라 흙 입자 사이 수압이 상승해 지반이 강도를 잃고 흙입자와 물이 분리돼 지반이 약해지는 것을 말한다.
11·15 포항지진 이후 액상화로 추정되는 현상이 17건 신고됨에 따라 행안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과 기상청은 지난달 19일부터 이를 규명하기 위한 조사·분석을 공동 진행했다.
조사단은 △진앙에서 10㎞ 이내 △액상화 우려 지역(하상·해안퇴적지형) △액상화 신고 지역 △기존 시추조사 자료가 없는 지역 △당초 기상청의 연구사업 지역 등을 기준으로 10곳을 골라 시추조사를 벌였다.
그 결과 10곳 가운데 홍해읍 망천리 2곳, 남구 송도동 2곳, 홍해읍 매산리 1곳 등 5곳이 ‘액상화 발생 가능 지반’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액상화 안전율을 산정했더니 모든 곳에서 기준치 1.5 이하인 0.45∼0.71로 나타났다.
조사단은 추가 분석이 필요하다고 판단, 액상화 지반이 많은 일본에서 위험도를 판정하는 방법인 액상화 지수(LPI·Liquefaction Potential Index)를 따져봤다. 지수는 ‘없음’(0)·‘낮음’(0∼5)·‘높음’(5∼15)·‘매우 높음’(15 초과) 4단계로 구분된다.
조사 결과 4곳은 액상화 지수가 ‘낮음’으로 판정됐지만, 망천리 논 1곳은 6.5로 ‘높음’수준인 것으로 분석됐다. 구조물 설치 시 액상화 대책이 필요하다는 의미다.
행안부는 “신고 지역 17곳 가운데 14곳에서 지하수 용출 또는 모래 분출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액상화와 관련된 것으로 파악했다”면서도 “대성아파트 등 3건은 단순 침하나 물고임으로 액상화와 관련이 없는 현상”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전문가들도 액상화에 대해 지나치게 걱정하지 않아도 될 것이라는 의견을 내놨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포항지역 개발 사업으로 기존에 마련된 3천여공의 시추 정보를 활용해 진앙지 주변지역 액상화 가능성을 추가 분석할 방침이다. 추가 신고가 들어오면 주민 협의를 거쳐 시추조사도 진행할 계획이다.
/김민정기자 hykim@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