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 홍준표 방문<BR>문재인 정부 견제 공감대<BR>인사문제도 공동 대응키로<BR>내년 地選 野 연대론 `솔솔`
국민의당 안철수 대표와 자유한국당 홍준표 대표가 문재인 정부를 견제하는 데 힘을 모으기로 했다.
안 대표는 29일 오전 서울 여의도 한국당 중앙당사를 방문해 홍 대표를 예방한 자리에서 “안보위기·경제위기가 앞으로 더 심각해지지 않느냐”며 “국익과 민생차원에서 문제를 해결하는 국회를 만들려고 한다”고 말했다. 안 대표는 “정부 여당이 제시하는 방향과 같다면 전적으로 협조하겠지만 그렇지 않다면 철저히 국익과 민생관점에서 저희 뜻을 관철시키겠다”고 강조했다. 이에 홍 대표는 “안보위기·경제위기 가운데 국민의당과 바른정당, 야당이 힘을 합쳐 이 정부를 바로 잡아줘야 한다”고 답했다.
특히 안보 위기와 관련해 홍 대표는 문재인 정부의 한반도 운전자론을 언급하며 “운전자가 레커 차에 끌려가는 운전석에 앉아 운전 흉내만 내고 있다. 미국·일본·북한도 외면하는데 혼자 운전하는 모습”이라고 비판했고 안 대표도 “외교·안보가 아주 우려된다. `코리아 패싱`이 실제로 일어나면 안되지 않는가”라고 동조했다.
두 대표는 문재인 정부의 인사문제에 대해서도 공동 대응키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당 전희경 대변인은 “힘을 합칠 수 있는 안보와 인사난맥상에 대한 두당의 협력에 대해 이야기했다”며 “홍 대표가 안 대표에게 두 당이 힘을 합쳐 인사문제 공조하자고 얘기했고 안 대표도 100일동안 평가를 보니 인사문제가 가장 점수를 낮게 받았다는 여론조사를 봤다며 동감을 표했다”고 전했다.
이런 가운데 지방선거 야권 연대론이 수면 위로 급부상했다. 안 대표와 홍 대표는 “원친적으로 연대하지 않는다”고 못 박았지만 홍 대표가 “정치 상황은 늘 변한다”고 말한 것이 화근이 됐다.
더 나아가 한국당을 중심으로 지방선거 야권연대 주장이 계속 나오고 있다. 한국당 김성태 의원은 이날 한 라디오 방송에 출연해 “내년 지방선거에서 지금 현재 추세라면 민주당의 싹쓸이가 점차 가시화되고 있다”며 “그런 측면에서 볼 때 지방선거 연대는 야권 입장에서 충분히 고려해볼 수 있는 카드다”고 밝혔다. 이에 앞서 정우택 원내대표는 “내년 6월 지방선거 때 수도권 3개 광역단체장 후보로 야(野) 3당이 단일 후보를 내는 방안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며 “야 3당이 합심해 서울시장, 인천시장, 경기지사 단일 후보를 내야 문재인 정권과 싸워볼 수 있다”고 했다.
그러나 각 정당은 지방선거 연대 불가 입장을 분명히 했다. 안 대표와 함께 홍 대표를 찾은 국민의당 송기석 의원은 양 대표간 비공개 회동이 끝난 후 “현재로선 상대 당과 선거연대 계획은 없다고 분명히 표현했다”고 전했다. 전 대변인도 “선거연대에 대해 진지한 대화를 나눴던 것은 아니다”며 “안 대표는 `국민의당은 원칙적으로 정면돌파 하겠다. 선거연대 생각없다`고 말했고 홍 대표도 `우리도 그렇다` 정도 선에서 얘기가 마무리 됐다”고 말했다.
특히 각당이 처한 상황도 한몫하고 있다. 보수통합의 경우 바른정당은 친박 청산을 외치고 있고, 한국당이 친박 청산에 들어가면 당내 갈등이 거세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또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은 안보관을 놓고 인식이 팽행선을 달리고 있다. 여기에 국민의당 내 호남파가 여전히 호남 중심당을 주장하고 있어 선거연대 가능성은 희박하다는 게 중론이다.
그럼에도 야권 연대 가능성은 남아있다. 홍 대표가 안 대표를 만난 자리에서 “정치라는 게 상황은 늘 변한다”고 말해 지방선거 연대 가능성을 열어뒀다. 안 대표 역시 “어제 최고위원에 당선된 박주원 전 안산시장은 홍 대표님 계실 때 공천해줬고, 검찰에 계실 때 직원으로 근무하셨던 분인데 홍 대표께서 (박 최고위원이) 안산시장 출마하면 좀 도와줘야 하는 것 아니냐”는 발언으로 선거 연대 가능성을 내비쳤다.
/박형남기자
7122love@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