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인난에 지방선거 위기감
우선 한국당은 `혁신`을 필두고 젊음과 참신함을 기준으로 인재영입에 나서고 있다. 더욱이 한국당 혁신위는 영입 인재들에게 내년 지방선거의 공천 혜택 부여까지고 검토하고 있다.
하지만 한국당의 인재영입 프로젝트는 사실상 개점휴업 상태다. 한국당 정종섭(대구 동갑) 의원이 지난 달 13일 인재영입위원장을 맡았지만 아직 젊은 피 수혈은 이뤄지지 않고 있다.
한국당 핵심관계자는 “참신하고 젊은 인재를 모셔오려고 한다”며 “현재 수락한 분들도 있고 `조금 생각해 보겠다`며 유보적인 분들도 있다”고 말했다.
바른정당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이혜훈 대표가 박종진 전 채널A 앵커를 직접 영입했을 뿐이다. 지난 달 2일 신성범 전 의원을 중심으로 인재영입위원회를 통해 영입된 인물은 전무하다. 인재영입위원회는 법조계나 정·관계 인사들은 영입 후보군에서 최대한 제외하는 대신 벤처기업을 일군 청년 기업가 등을 영입하는 데 집중할 방침이다.
이와 관련, 바른정당 김상민 전략홍보본부장은 “보수 재건에서 더 나아가 대한민국을 어떻게 이끌겠다는 합리적이고 뚜렷한 청사진을 보여준다면 인재는 저절로 모일 것”이라고 말했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탄핵 정국 이후 보수세력이 위기를 맞으면서 보수정당에 합류하는 인사는 많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과 더불어민주당에 지지율이 높고, 중도·보수 성향의 인물들도 보수정당보다는 여권에 더 몰리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급격한 지지율 하락도 인재영입에 어려움을 겪는 하나의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박형남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