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대한민국 생일 정치권 또 논란

박형남기자
등록일 2017-08-16 21:26 게재일 2017-08-16 3면
스크랩버튼
文 대통령 “1919년 건국”<bR>야권 “1948년 건국 자명”

15일, 문재인 대통령의 광복절 경축사에 대해 자유한국당과 국민의당 등 야권은 “국민 분열을 야기하는 행보”라며 비판했다. 야권이 문제삼은 대목은 문 대통령의 경축사 중 `1919년 임시정부 수립을 대한민국 건국일`이라는 부분이다. 실제로 야권은 `경축사 직후부터 문재인 대통령이 스스로 19대 대통령이라고 하면서 국민·영토·주권이라는 국가 성립요건이 불비한 1919년 건국을 이야기하는 건 앞뒤가 맞지 않는다`는 비판도 가했다.

한국당 류석춘 혁신위원장은 “대한민국이 1948년에 건국된 것은 논란의 여지가 없는 사실”이라고까지 했다.

류 위원장은 이날 오전 여의도 당사에서 가진 브리핑에서 “국가라는 게 성립하려면 정치학 교과서에 나오듯 국민, 영토, 주권이 있어야 한다”며 “그 기준에서 1948년 건국은 자명한 일이다. 논란의 여지가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문 대통령도 취임식 할 때 대한민국 `19대` 대통령이라고 하지 않았나”며 “19대 대통령을 역사적으로 올라가면 1대, 초대 대통령은 이승만이라는 것이다. 본인도 19대 대통령을 쓰는 이상, 건국 초대 대통령 이승만을 인정하면서도 1919년 건국이라 얘기하는 건 앞뒤가 맞지 않는다”고 했다. 그러면서 그는 “사람으로 치면 대한민국은 1919년 임신되고 1948년 태어난 것”이라며 ““건국과 건국 의지를 밝힌 것은 다르다. 그럼 독립운동한 것이 해석이 안 되지 않느냐”고 반박했다.

국민의당과 바른정당 등도 가세했다.

국민의당 박지원 전 대표는 “건국절이 문제가 된다면 역사와 헌법을 부인하는 작태”라며 “광복 72주년, 또 다른 광복이 필요하다. 왜 좋은 역사를 부인하려 하는지, 촛불혁명을 부인하자는 발상”이라고 꼬집었다.

바른정당 이종철 대변인 역시 “대통령은 `건국절 논란에 종지부를 찍겠다`고 했다. 그러면서 1919년 건국설을 공식화했다”면서 “우리 사회는 `1919년 건국`과 `1948년 건국`이 `좌파`와 `우파`의 전유물이돼 한치도 양보할 수 없는 것인양 날카롭게 대립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이것은 국민적 총의와 합의를 차분히 모아나갈 문제로 어느 일방이 선언적이고 일방적으로 정리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며 “대통령은 더더욱 이런 점을 감안해 신중하게 접근해야 하며 오직 국민통합과 국론통일을 먼저 고려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런가 하면, 야권은 문 대통령의 광복절 메시지가 “안보 불안을 불식하기는 역부족”이라고도 했다.

한국당 정우택 원내대표는 “현재 진행 중인 북한의 안보위협에 대해 깊이 있는 내용이 부족했다”고 지적했다.

/박형남기자

7122love@kbmaeil.com

정치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