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이 `최순실·박근혜 게이트`와 관련, 박근혜 대통령을 공동정범으로 명시하면서 야권은 물론 여권 내부에서도 탄핵논의가 급물살을 탈 것으로 보인다.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 안철수 전 국민의당 공동대표, 박원순 서울시장, 안희정 충남지사, 이재명 성남시장, 천정배 전 국민의당 공동대표, 김부겸 민주당 의원, 심상정 정의당 상임대표는 20일 국회에서 `비상시국 정치회의`를 열었다.
문재인 등 대권주자 8인`비상시국 정치회의` 개최
`과도내각 구성` 카드 내밀며
野3당·국회에 탄핵추진 요구
새누리 비박계도
탄핵절차·출당 징계 논의 등
朴 대통령에 전면전 선언
非朴중심 탈당 움직임도 보여
이들은 `비상시국 타개를 위한 우리의 입장`이라는 합의문을 통해 “박 대통령의 범죄사실이 명백하고 중대해 탄핵 사유가 된다. 국민적 퇴진운동과 병행해 탄핵 추진을 논의해줄 것을 야3당과 국회에 요청한다”며 “대통령 퇴진과 탄핵에 따른 국정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 `국회 주도의 총리 선출 및 과도내각 구성` 등 세부 수습방안을 조속히 마련해 달라”고 요청했다.
문 전 대표는 “오늘 검찰 발표에서는 대통령이 구속될만한 충분한 사유가 확인됐다. 버틸 경우 법적으로 탄핵 사유가 충분하다는 사실도 확인됐다”고 했고, 박 시장은 “국민이 만든 시민혁명의 정신을 정치인들이 희석해서는 안 된다. 촛불민심의 핵심인 대통령의 퇴진을 이뤄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즉각 탄핵 절차에 돌입하자는 의견도 나왔다. 안 전 대표는 “탄핵을 추진할 때”라고 했고, 김 의원도 “오늘 검찰 발표를 보니 사실상 대통령 대한 정치적 책임, 탄핵을 물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새누리당 내 비박계가 주도하는 비상시국회원회도 20일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즉각 탄핵 절차에 착수키로 했다.
이들은 당 윤리위원회에 박 대통령 출당 징계도 요구할 계획이다. 그간 이정현 대표의 사퇴를 촉구했던 비주류가 사실상 박 대통령과 전면전을 선언한 것이다.
이날 오후 국회 의원회관에서 비주류 초재선과 중진 의원은 물론 원외 당협위원장 등 8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긴급 모임을 열고 △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탄핵절차 즉각 착수 △ 박근혜 대통령을 당 윤리위원회에 제소해서 출당 및 제명 논의 △야당 추천 총리에 대한 인정 등을 합의했다.
비상시국위 간사격인 황영철 의원은 “검찰 수사 발표대로 대통령이 헌법을 위반하고 법률을 위반한 것으로 보여진다. 국회는 대통령의 탄핵절차에 즉각 착수해야 한다”며 “이 결정의 위중함 때문에 오늘 35명의 의원이 참석했고, 3명을 제외한 32명이 탄핵절차 착수에 동의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새누리당은 이번 사태와 관련 박 대통령을 당 윤리위에 즉각 제소해 출당 징계 등을 요구해주길 요청한다”고 했다.
한편, 새누리당 김용태 의원과 남경필 경기도지사가 조만간 탈당을 할 것으로 보인다.
김 의원은 이날 국회의원회관에서 비박계 주도로 열린 비상시국회의에 참석한 뒤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저하고 남 지사가 의견이 일치됐다. 조만간 결과로 보여드리겠다”고 밝혔다.
/박형남기자 7122love@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