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김영란법에 백화점 `울상`

연합뉴스
등록일 2016-08-09 02:01 게재일 2016-08-09 11면
스크랩버튼
마트·식품업계는 `미소`
향응·접대를 엄격하게 규제하는 `김영란법`(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 시행을 앞두고 같은 유통·제조업체라도 업태나 업종에 따라 미묘한 표정 차이가 나타나고 있다. 백화점의 경우 90%의 선물세트가 5만원을 넘는 김영란법 저촉 대상인 반면, 마트나 편의점은 반대로 5만원 이하 선물 비중이 80~90%에 이르기 때문이다. 상대적으로 저가 선물세트 구색이 풍부한 식품업체도 반사이익을 내심 기대하고 있다.

◇5만원 미만 선물

8일 롯데백화점에 따르면 지난해 추석 선물세트 매출 가운데 85%는 5만원이상 가격대의 선물이 차지했다. 현대백화점에서도 올해 설이나 작년 추석 당시 5만원이상 선물의 매출 비중은 약 90% 수준이었다.

따라서 다음 달 28일 5만원을 넘는 선물 접대를 금지하는 김영란법이 시행되면,유통 채널 가운데 백화점 선물 시장이 가장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 예상된다.

백화점들도 저가 선물을 늘려 변화를 준비하는 분위기지만 아직 뾰족한 대책을 찾지 못하고 있다.

반면 대형할인마트의 입장은 백화점과 다소 차이가 있다.

올해 설 이마트에서 팔린 선물세트 가운데 대부분인 87.8%(수량 기준)가 김영란법과 무관한 `5만원 미만` 선물이었다.

지난해 추석 이마트 선물 중 5만원 미만의 수량 비중도 89.1%에 이르렀다. 10개선물세트가 팔리면 9개는 5만원을 넘지 않는 저가 선물이라는 얘기다. 매출 기준으로도 작년 추석과 올해 설 5만원 미만 선물의 비중은 67~69% 수준이었다. 편의점의 상황도 마트와 비슷하다.

◇식품선물 5만원 이하 90%

식품업계도 김영란법 시행으로 오히려 명절 선물세트 판매가 늘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햄·참치 등 통조림과 식용유 등 가공식품으로 구성된 선물세트는 대부분 5만원을 넘지 않아 김영란법의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이다.

업계 1위인 CJ제일제당의 지난해 추석 선물세트 가운데 5만원 이하 상품은 94.5%(수량 기준)를 차지했다. 매출 기준으로는 5만원 이하 상품 비중이 89.5%였다. 대상의 작년 추석 선물세트 구성에서 5만원이 넘는 제품은 1.5%에 불과했고, 올해 추석에도 1.7% 수준에 그쳤다.

하지만 유통·식품업계에 일각에서는 김영란법 시행으로 한국 특유의 명절 선물문화 자체가 위축돼 고가·저가 가격대 구분 없이 전체 선물시장 자체가 위축될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김영란법 시행으로 선물 문화가 사라진다면 유통, 식품업계 전반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경제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