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우리바다 동해 그리고…독도

윤희정기자
등록일 2016-03-15 02:01 게재일 2016-03-15 12면
스크랩버튼
경북대미술관 `독도오감도전` 23일부터<bR>국내 대표 화가 20명 참여<BR>회화·조각 작품 45점 전시
▲ 한영섭 作 `독도`
▲ 한영섭 作 `독도`

경북대미술관이 23일부터 5월 10일까지 1,2,3관에서 개최하는 `독도 오감도(五感圖)`전은 우리의 바다 동해와 독도를 미술을 통해 표현하고, 전시함으로써 동해와 독도가 우리 삶의 일부이며, 우리 문화의 일부임을 널리 알리기 위해 마련한 기획전이다.

경북대미술관과 함께 이번 전시회를 준비한 라 메르 에 릴은 각 분야의 예술가들이 문화 예술을 통해 독도를 우리의 삶 속에 승화시키고, 또한 올바른 동해 표기를 돕기 위해 설립한 순수 예술단체다.

이번 전시는 한국의 대표 원로·중견 및 신진화가 20명이 참여해 일본이 우리나라와 `어처구니 없는 `영유권 분쟁을 주장하고 있는, 우리의 아름다운 섬 독도의 모습을 회화, 조각 작품 45여점에 담았다.

이번 전시에 참여하는 대부분의 작가들은 직접 독도에 가서 영감을 얻어 작품을 제작했다. 독도를 직접 바라본 작가들의 상상력으로 기대 이상의 작품들을 만나 볼 수 있을 것이다.

서양화가 한영섭 상명대 명예교수의 `독도`는 그가 처음 독도와 직접 마주했을 때 보고 듣고 느꼈던 모든 형상과 현상을 특수재료를 이용해 동도와 서도를 묘사함으로써 강한 그 존재감을 표현했다. 바다와 하늘의 무한한 공간은 탁본을 이용해 우주의 신비성을 드러내고 섬에 부딪치는 하얀 파도에는 시간의 흐름을 담았고, 갈매기의 입체적인 구성으로 생명의 소리와 공기의 움직임까지 보여줌으로써 독도의 신비성을 초현실적으로 표현했다.

▲ 김경원作 `해녀와 강치`<br /><br />
▲ 김경원作 `해녀와 강치`

서양화가 하태임 삼육대 미술컨텐츠학과 교수는 추상화 `바람은 희망을 품고`를 통해 동쪽 바다 끝에 홀로 솟아 있는 외로운 독도에 대한 안타까운 마음을 바람을 통해 희망의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

서양화가 한만영 성신여대 명예교수의`Reproduction of Time-Dokdo`는 독도의 지리적 특성을 담기 위해 크기와 두께가 각각 다른 2개의 캔버스로 구성된 독특한 조형 구조로 제작한 작품으로 제일 큰 화면에는 바다와 하늘의 경계가 모호한 공간에 떠있는 독도에서 독도를 바라본 부속 섬 이미지를 형상화 했다. 또 정사각형의 푸른색 캔버스는 망망대해에 떠있는 독도의 장소성을 현실과 비현실, 수면과 수중 모두를 포용한 이데아로서의 무한상상공간으로 표현했다. 상대적으로 작은 캔버스에는 독도 안에서 밖(동해)을 내다 본 풍경으로 생명의 숨결과 수평선 넘어 초월적 바다 풍경을 담고 있다.

한국화가 김선두 중앙대 교수의 `독도-새들의 고향`은 독도를 우리 땅이라 주장하려면 우리들의 일상이나 우리의 문화에 독도가 스며있어야 설득력이 있다는 전제 하에 아이들이 언제든 독도에 찾아가서 편하게 뛰어놀고, 소풍도 가는 자신의 상상력이나 소망에서의 독도를 그렸다.

▲ 하태임 作 `바람은 희망을 품고`<br /><br />
▲ 하태임 作 `바람은 희망을 품고`

조각가 김경원은 `해녀와 강치`등 울릉도와 독도의 역사에 나오는 인물들을 중심으로 우리민족의 순박하면서도 꿋꿋한 생명성의 조형세계를 보여주는 흙을 빚은 토우작품을 선보인다. `해녀와 강치`에 나오는 해녀는 1953년 독도에서 전복, 소라, 미역들을 채취하며 제주도와 독도를 오가면서 독도 수호 군자금을 도와주고 독도의용수비대와 함께 외롭고 힘든 시기에 독도를 지킨 해녀 강치 를 안고 있는 김공자 할머니의 사진을 참고한 것이다.

경북대미술관 관계자는 “이번 전시를 통해 동해와 독도는 우리와 함께 살아 숨 쉬는 우리의 바다이며, 우리의 섬으로 승화될 것을 기대해 본다”고 전했다.

/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

문화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