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향수, 그 애틋한 감동

윤희정기자
등록일 2016-03-14 02:01 게재일 2016-03-14 13면
스크랩버튼
원로화가 신석필 화백 회고전<BR>내일부터 대구 수성아트피아
▲ 신석필 作 `일식`

대구·경북지역 현역 최고 원로화가인 신석필(95) 선생의 대규모 회고전시가오는 15일부터 20일까지 대구 수성아트피아 전시실 전관에서 열린다. 황해도 출신인 신 화백은 1950년 말 월남 후 지금까지 국내 화단 내 어떤 유파에 속하지 않고 일정한 거리를 둔 채 독자적인 세계를 일궈오면서 구상과 추상화의 중간인 신구상미술계의 대표적인 화가다.

언뜻 보아 자연친화적이고 향토색 짙은 그의 작품은 풍부한 색채와 독창적인 조형으로 고향에 대한 향수가 깊이 배어 `노스탤지어(향수)`라는 애틋한 감정으로 관람객들에게 전해진다.

이번 전시는 총 60여점의 작품이 선보일 예정이며 대구미술관과 대구문화예술회관, 대백프라자갤러리의 협조로 신 화백의 195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 초기작품 40점을 포함해 최근 신작(작가제공) 20여점이 함께 선보일 예정이다.

특히 이번 전시에서는 신 화백의 석고 환조 작품 `서있는 남자(1967)`원형작품과 브론즈로 제작된 `일식(日蝕·1967)`작품이 함께 선보여 신 화백의 지난 화업의 과정을 총체적으로 들여다 볼 수 있는 의미 있는 시간으로 자리할 예정이다.

어린 시절의 추억과 고향에 대한 향수라는 맥락에서 한국의 설화, 세시풍속 등 민족정서에서 소재를 찾아내 특유의 예술혼과 맞부딪치면서 향토성을 짙게 표현한 작품들은 이는 대상의 물질적 결과나 자연현상의 겉모습에 대한 천착이 아니라 그러한 현상적 결과에 이르기까지 자연의 생성 과정과 물질적 대상의 의미를 추적하는 집요한 작가적 탐구력에 기인한 것이었다.

또한 `여인`이 가진 특이한 표정을 통해 인간의 다양한 모습과 희로애락을 전달하고 있다. 그가 그려낸 여인의 도상은 전후 남성들이 비운 가장의 자리를 대신하는 여성가장의 현실을 작품에 담은 것으로, 고달픈 상황 속에서 경험한 생존의 치열함과 모성애의 희생정신을 적나라한 인간상으로 표현한 것이다.

가면 쓴 여인의 모습을 그린`가면`은 모두가 가면을 쓴 세상에서 살아 남기 위해서 여인도 가면을 쓸 수밖에 없다는 메시지를 던진다.

이밖에 신비와 환상, 몽환적이고 신화적인 분위기를 띠면서 고요한 정적감이 감도는 신비한 세계를 보여주거나. 거기에다 고대사를 소재로 한 그림들이 많이 출품된다.

이미애 수성아트피아 전시기획팀장은 “작품에 현실을 직접적으로 담아내지 않고 그 만의 독특한 재해석 방법으로 추구된`신 구상주의` 회화에는 분단 디아스포라 의식의 대표적인 특성이 스며 있다. 하여 졸수의 연세에 이르기까지 북에 두고 온 고향의 추억을 예술혼으로 승화시킨 그의 작품세계에 대해 `향수의 미학`이라고 평가하는 데 주저함이 없다. 그는 작품을 통하여 자연의 참모습을 끊임없이 그려내 자신만의 유토피아를 만들어내고 있기 때문이다”고 말했다.

/윤희정기자

문화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