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7년 역사성·전통성 지녀
【청도】 청도군의 전통민속놀이인 `청도 도주줄당기기`가 경북도 무형문화재 제38호로 지정됐다.
청도군 화양읍 서상리, 동상리 일원에서 시작된 도주줄당기기는 청도 군민이 양편으로 나뉘어 줄을 잡아당기며 승부를 겨루는 놀이다.
`도주`는 고려시대의 청도 지명으로 도주줄당기기는 청도읍성 북문 밖 사형장이 있던 강지땅의 지세를 누르기 위해 1779년(정조3년)에 시작되었다고 전해지는 역사성과 전통성을 가진 민속놀이다.
줄당기기의 장소나 줄을 운반하는 방법은 변화했지만, 다수의 청도 군민들이 합심해 큰 줄을 만들고, 동·서군으로 나뉘어 고사를 지내는 점, 줄당기기 후 진편의 줄을 잘라 상여놀이를 하는 구성이 잘 전승돼 무형문화재로 지정됐다.
특히 청도 도주줄당기기는 풍년기원 줄을 만들고 당기는 과정에 보이는 공동체성은 신과 인간, 민과 관, 지역민과 타지역민 간의 화합정신이 잘 나타나 있다.
청도군의 경북도 무형문화재는 제4호 청도차산농악, 제24호 청도삼베짜기, 이번에 청도 도주줄당기기가 제38호로 지정돼 총 3건으로 늘어났다.
/나영조기자
kpgma@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