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오곡밥 먹고, 올 한해 좋은 일 가득하게

윤희정기자
등록일 2016-02-17 02:01 게재일 2016-02-17 12면
스크랩버튼
정월대보름 음식 만들기
▲ 오곡밥
▲ 오곡밥

오는 22일은 음력으로 1월 15일, 정월대보름이다. 정월대보름은 모든 곡식이라는 의미의 오곡으로 열나흗날 저녁에 밥을 지어 보름날까지 먹으면서 한 해 농사를 무사히 치르게 해달라거나 한해의 액운을 쫓고 행복과 안녕을 기원하는 날이다.

예로부터 정월대보름엔 부럼 깨고 오곡밥과 묵은 나물을 먹는 풍습이 있었다. 이는 신라시대부터 전해져 오는 것으로 그 해의 농사를 미리 점치고 이웃들과 함께 친목을 다지는 잔칫날이었다.

한 해 동안 건강을 비는 뜻에서 땅콩, 호두, 생밤, 잣 등 딱딱한 과실을 이른 새벽에 깨먹는 것을 부럼이라고 한다. 부럼을 먹으면서 건강을 기원하면 한 해 내내 부스럼이 나지 않고 치아가 튼튼해진다고 믿었다.

나물과 오곡밥에는 나름의 의미가 담겨 있다. 고서인 동국세시기에 보면 가지고지, 시래기 등 묵은나물을 9가지 정도 삶아서 먹으면 그해 여름에 더위를 타지 않으며 취나물, 배춧잎, 곰취잎 등 잎이 넓은 나물이나 김에 밥을 싸 먹으면 복을 받는다 해서 `복쌈` 이라고도 불렀다.

또한 오곡밥은 찹쌀, 찰수수, 팥, 차조, 검은콩 등 다섯가지 이상의 곡식을 넣은 것으로 다음 해에 모든 곡식이 잘되라는 구복의 의미가 담겨 있다.

이번 정월대보름엔 일 년 내내 좋은 일만 일어나게 해줄 것 같은 정월대보름날 음식을 정성껏 만들어 보자.

찹쌀·팥 등 5가지 곡식으로 지은 겨울철 영양만점 `오곡밥`

고사리·도라지 나물 등 비타민 풍부…기름에 볶아야 제맛

호두·땅콩 등 견과류, 암 억제·노화방지 예방효과도 탁월

□오곡밥

오곡밥은 시대와 기호에 따라 구성이 조금씩 달라지긴 했지만 대체로 찹쌀, 찰수수, 팥, 차조, 콩의 다섯 가지 곡식을 섞어 짓는다. 오행의 청, 적, 황, 백, 흑의 기운이 도는 곡물로 오행의 기운을 받아 오장육부의 균형을 만들어주려는 의미도 내포돼 있다.

무엇보다 오곡밥은 겨울철 부족하기 쉬운 비타민, 미네랄, 식유섬유가 풍부해 가족 건강 챙기기에도 그만이다.

특히 찹쌀은 성질이 따뜻해 소화기관에 좋다. 조는 쌀에 부족한 식이섬유와 무기질, 비타민이 풍부하고, 팥은 식이섬유와 칼륨(K)이 풍부해 부기를 빼는데 좋다.

특히 수수, 팥, 검정콩 등 검은색 계열의 잡곡은 항산화 성분인 안토시아닌이 풍부하다.

쌀과 잡곡의 비율은 7:3이 가장 이상적이지만 몸이 찬 사람은 따뜻한 성질의 찹쌀, 콩을 늘리고, 몸에 열이 많은 사람은 팥과 같이 서늘한 기운의 잡곡을 늘리는 것이 좋다.

오곡밥을 맛있게 지으려면 잡곡의 알갱이 크기가 서로 다르므로 딱딱한 팥은 미리 삶아 두고, 알갱이가 작은 조는 마지막 뜸 들일 때 넣으면 더욱 좋다.

<재료(4인 기준)> 멥쌀 2컵, 찹쌀 1컵, 조, 수수, 팥, 검정콩 1/4컵씩, 소금 약간

<만드는 법> 1. 멥쌀과 찹쌀은 물로 깨끗하게 씻어 1시간 이상 충분히 물에 불려 준비한다.

2. 조, 수수, 검정콩 등 잡곡도 물에 불려둔다.

3. 팥은 깨끗이 씻어 냄비에 물을 넣고 팥이 터지지 않을 정도로 끓인다(팥 삶은 물은 버리지 말고 밥을 지을 때 사용하면 붉은 밥을 지을 수 있다).

4. 팥 삶은 물에 소금을 약간 넣고 밥물을 만든다.

5. 솥에 조를 제외한 쌀과 잡곡을 모두 넣어 섞은 다음 4의 물을 넣고 밥을 짓다가 뜸 들일 때 조를 넣는다.

▲ 나물
▲ 나물

□나물

묵은나물은 호박고지, 박고지, 말린 가지, 무시래기, 고사리, 고비, 도라지, 취나물, 고구마순 등 최소 9가지 나물들을 여름이나 가을에 잘 말려뒀다가 대보름에 기름에 볶아서 먹는다.

묵은나물에는 비타민 A가 많이 함유돼 있는데, 비타민 A는 기름에 잘 녹는 지용성 비타민이므로 묵은나물은 기름으로 볶아야 제 맛을 낼 수가 있고 필요한 영양소를 섭취할 수가 있다.

고사리는 식이섬유가 많아 대변을 잘 통하게 하고, 이뇨 효과가 있으며, 포만감을 주기 때문에 겨우내 찐 살의 다이어트에도 효과적이다. 또 고사리의 산성다당류는 살균, 소독의 효과가 있어 몸의 독소를 해독시켜 준다.

취나물은 아미노산, 칼륨, 인, 철분, 비타민A·B1·B2와 각종 무기질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다. 취나물의 비타민C는 알코올 분해에 도움을 주고, 비타민B2는 간의 해독 작용을 돕는다.

시래기는 식이섬유, 비타민, 미네랄, 칼슘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다.

특히 시래기의 35%이상이 식이섬유로 돼 있으며, 칼슘은 배추보다 2배 이상 많다. 시래기에 함유된 비타민A와 C는 모두 항산화작용이 있어 암, 노화, 동맥경화 등의 원인이 되는 활성산소의 활동을 억제하고 콜레스테롤 수치를 감소시킨다.

<재료> 도라지, 고사리, 시래기, 호박, 취나물, 피마자, 아주까리 등 갖가지 나물, 참기름

<만드는 법>

1. 말린 나물은 하룻밤 정도 물에 불려 뒀다가 끓는물에 무르도록 삶아낸다.

2. 흙이나 모래가 씹히지 않도록 3~4회 잘 헹궈 물기를 짜고 먹기 좋은 크기로 잘라준다.

3. 다진마늘, 다진파, 재래간장(청장, 국간장), 깨소금, 들기름으로 조물조물 간한다.

4. 달궈진 팬에 나물을 볶아주면서 촉촉하도록 멸치육수를 끼얹어 가면서 참기름으로 볶아준다.

5. 잘 볶아진 나물에 마지막에 깨를 뿌려준다.

▲ 부럼
▲ 부럼

□부럼

부럼은 노화방지와 체내 콜레스테롤 함량을 저하시킨다.

호두, 땅콩 등 부럼을 깨무는 견과류는 추위를 이길 수 있는 에너지원이 되는 동시에 암을 억제하는 물질인 프로테아제 억제제와 폴리페놀류가 많이 함유돼 있어 암예방 효과가 있으며, 또한 항산화 효과가 있는 비타민 E가 많이 함유돼 있어 노화방지에 효과가 있고 불포화 지방산의 함량이 많아 콜레스테롤을 낮춰준다.

또한 딱딱한 견과류를 먹는 것은 턱관절을 튼튼하게 하며 뇌에 자극을 줘 뇌혈관질환을 예방해주는 것은 물론 치아를 자극해 신장을 튼튼하게 한다.

/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

<도움말 = 박순늠 포항외식창업연구소장>

문화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