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문학작품 속 `진짜 사랑` 이야기

윤희정기자
등록일 2016-01-15 02:01 게재일 2016-01-15 13면
스크랩버튼
`사랑이 아니면 아무것도 아닌 것` 송정림 달 펴냄, 224쪽
휴대전화 액정 뒤에 숨어서 사랑을 고백하고, 또 이별을 고하기도 하는 시대. 오래 인내하며 깊게 배려하고 진정으로 서로의 단점마저 보듬는 참다운 사랑은 이제 사라져버린 것이 아닌가 싶을 정도로, 요즘의 사랑은 성급하고 진득하지 못하다.

진짜 사랑인지 의도적 접근인지 의심하기도 하고, 나와 상대의 마음을 견주며 손해보지 않으려 계산기를 두드리기도 한다.

`썸` 이라는 신조어까지 등장하며, 사랑인 듯 사랑 아닌 새로운 관계가 설정되기도 했다. 과장을 조금 보태자면 사랑을 믿지 못하는 시대가 도래했다.

송정림 작가의 신간 `사랑이 아니면 아무것도 아닌것`은 그동안 다양한 저작을 통해 생활 속 따뜻한 이야기를 발견해 들려주고 한줄기 희망을 놓지 않게 해줬던 작가가 문학작품 속에서 사랑과 삶의 면면을 포착한 산문집이다.

작가가 이 책에서 선정한 문학작품은 동서고금을 막론했고, 많은 사람들에게 널리 알려진 명작은 물론이고 대중적으로 잘 알려지지 않았던 작가의 작품들도 다루고 있다.

저자는 쉽게 변덕과 싫증을 부리게 되는 팍팍한 세상에 `사랑이 변질됐다 해도 궁극적으로 사랑은 있다`는 메시지를 전한다.

책은 지난 2014년 7월부터 2015년 3월까지, 문학동네 출판그룹 공식 카페에서 주1회 연재됐던 내용을 바탕으로 꾸려졌다. 제목 `사랑이 아니면 아무것도 아닌 것`도 당시의 연재명을 그대로 가져온 것이다.

단행본으로 엮는 과정에서 연재 분량 가운데 1/3 정도는 덜어내고, 새로운 작품을 채워넣는 작업이 진행됐다.

유부남과 사랑에 빠져 그가 와주기만을 기다리는 한 여자의 일기 같은 소설 `단순한 열정`(아니 에르노)을 통해 도덕적 관념도 내다버릴 만큼 뜨겁고 아프지만 열정적인 사랑에 대해 생각하게 하고, 사랑하는 여자를 무려 51년 9개월 동안 한결같이 기다려온 남자의 순애보를 그린 `콜레라 시대의 사랑`(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을 통해 사랑의 유효기간이 점점 짧아지는 요즘 시대에 잔잔한 감동의 파문을 던진다.

남자의 시선과 여자의 시선으로 각각 쓰인 `냉정과 열정 사이`(에쿠니 가오리·츠지 히토나리)를 다시 읽으면서는 헤어졌지만 끝내 다시 만날 수밖에 없는 애잔한 사랑에 가슴이 뜨거워지고, `러브 스토리`(에릭 시걸)에서는 현실적인 장벽을 모두 뛰어넘어 진정한 사랑으로 결혼까지 이뤄낸 주인공을 통해 진정한 사랑의 조건이 무엇인지를 다시금 깨닫게 된다.

암에 걸린 남편의 마지막을 보살피는 아내의 이야기를 담은 `여덟 개의 모자로 남은 당신`(박완서)에서는 우리들 어머니의 모습이 겹쳐져 눈시울이 붉어지기도 하고, 권태기가 찾아온 부부가 그것을 벗어나 보려다가 오히려 작은 오해로 위기를 맞는 소설 `낭만파 남편의 편지`(안정효)를 통해 사랑도 화초를 가꾸듯 꾸준히 돌보아 지켜내야 한다는 당연한 사실을 새삼 되새긴다.

/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

문화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