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정·청 회의… “국정화, 정치권 간섭 말라” <bR> 노동개혁 법안·내년도 예산안 등 집중 논의
청와대와 정부·여당 수뇌부는 3일 “역사 교육은 이제 역사학계 등에 맡기고 정치권은 노동개혁과 경제 활성화, 청년 일자리를 위해 총력을 기울여야한다”고 의견을 같이 했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와 원유철 원내대표, 황교안 국무총리, 이병기 대통령 비서실장 등 당정청 고위 인사들은 이날 삼청동 소재 총리 공관에서 오찬을 겸해 열린 고위 당·정·청 회의를 통해 이같이 의견을 모았다.
이날 고위 당·정·청 회의에서는 역사(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문제보다는 노동개혁법안, 서비스발전기본법안, 한중자유무역협정(FTA) 등 국회비준, 내년도 예산안 등의 19대 정기국회 내 처리문제가 주로 논의됐다.
김 대표는 이날 회의 인사말에서 “정부에서 역사교과서 국정화 국정고시를 하는 모습을 속 시원하게 지켜봤다”며 “역사교과서 정상화는 역사학회의 신망 받는 학자, 정치·경제·사회 분야의 대표 지성인들에게 맡기고 정치권은 경제와 민생에 더욱 주력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 대표는 특히 “노동개혁 등 4대개혁과 경제활성화 법안, 한중FTA 비준 등은 미래 세대 먹거리와 일자리 창출을 위해 꼭 처리해야 할 현안”이라며 “진작 처리돼야 할 것들이 야당이 발목잡아 무한정 연기되며 처리되지 못하는 안타까운 상황 벌어지고 있는데 여야의 대립이 민생과 국익보단 앞설 순 없다”고 강조했다.
원유철 원내대표 또한 “교과서 국정화가 확정고시된 만큼 교과서 정치논쟁은 이제 중단하고 여야가 함께 민생과 경제를 위해 전력해야 한다”면서 “민생 안정이라는 목표 하에서는 여야가 따로 없고 당정청은 삼위일체 한 몸이 돼야 한다. 정국 해법을 찾아 민생에 집중하도록 야당이 협조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병기 실장도 “개혁 위해 한 몸이 되어 경제를 살리고 민생 안정을 도모해야 한다”면서 “박 대통령이 시정연설에서 경제와 민생, 청년들의 미래를 위한 마음에는 여와 야 정부와 국회가 따로 있을 수 없다고 했는데 야당도 앞으로 설득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황교안 총리도 “경제활성화법과 노동개혁 법안이 조속히 통과돼 경제회복을 앞당기고 일자리를 하나라도 더 만들 수 있도록 당·정·청이 총력을 기울여 나가야 할 것”이라며 “청년고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데 이러한 노력이 양질의 청년 일자리 창출이라는 가시적 성과로 이어지도록 당정청이 노력하고 협력해야겠다”고 강조했다.
황 총리는 또 “경제 활력을 더하고 서민생활을 안정시키기 위해 내년도 예산안이 법정시한 내에 통과돼 각 부처가 사업 추진을 본격적으로 해 나갈 수 있게 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 정부는 국회 예산 심의 지원을 할 것이고, 당 차원에서도 협조를 부탁한다”고 말했다.
오찬을 겸해 열린 이날 회의에선 당에선 김 대표와 원 원내대표 외에 김정훈 정책위의장과 황진하 사무총장이, 정부에선 황 총리와 최경환·황우여 부총리, 추경호 국무조정실장이, 그리고 청와대에선 이 실장과 현정택 정책조정·현기환 정무·안종범 경제수석비서관이 자리를 함께 했다.
/안재휘기자 ajh-777@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