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결합·연결로 시대 흐름 바꾼 혁신가들

윤희정기자
등록일 2015-10-16 02:01 게재일 2015-10-16 13면
스크랩버튼
 `혁신가 경제학` 이일영 창비 펴냄, 328쪽
`혁신가 경제학: 시대의 흐름을 바꾼 혁신가 열전`(이하 `혁신가 경제학`·창비)은 우리 사회의 대안적 경제모델을 연구해온 이일영 교수(한신대 글로벌비즈니스학부)가 학교와 생활현장을 넘나들며 `혁신`을 주제로 한 강의 내용에 토대를 둔 책이다.

여기서 저자는 `개인기`가 아닌 `조직력`으로 이 불확실성의 시대를 돌파할 것을 제안한다. 조직력은 집단주의적 단합 따위를 의미하지 않는다.

정확하게는 조직할 줄 아는 능력, 즉 흩어져 있는 아이디어나 사람들을 결합하고 연결할 수 있는 능력을 가리킨다. 저자는 주류경제학과 맑스주의를 넘어서는 이론들과 이를 뒷받침하는 사례들을 끌어와, 새로운 결합과 연결로서 `혁신` 그리고 이를 실행에 옮기는 주체로서 `혁신가`를 제시한다.

최근 연애·결혼·출산을 포기한 청년층을 일컫는 3포세대라는 신조어가 5포세대, 7포세대로 진화하다 급기야 N포세대라는 말까지 등장했다.

청년들은 비정규직을 전전하며 대출금을 갚아나가는 생활이 앞으로도 크게 나아지지 않을 것으로 여긴다.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는 데 모두가 공감하지만, 그게 무엇인지 아무도 딱 부러지게 말할 수 없다.

도대체 뭘, 어떻게 바꿔야 하는 것일까? 이 책에서 저자는 한 시대의 흐름을 바꾼 6가지 흥미로운 열전(列傳)을 들려주며 지금 이 자리에서 혁신이 어떻게 가능할지 타진한다. 개인은 힘이 없고, 정부는 우왕좌왕하는 오늘에도 혁신을 통해 함께 살 길을 모색할 수 있음을 역사는 말해주고 있다.

`혁신가 경제학`은 혁신에 관한 이론적 논의를 다룬 제2부, 그리고 혁신을 이룬 대표적 혁신가 사례를 다룬 제3·4부를 중심으로 전개된다.

혁신의 이론은 슘페터부터 피터 드러커, 칼 폴라니, 로널드 코즈, 네트워크 사회학까지 다양하게 참조하는데, 그렇게 해서 도달하는 지점은 제도와 조직의 혁신, 즉 씨스템의 혁신이다.

저자는 자신의 수업을 듣는 학생들, 사회적 기업가 MBA 과정 수강생들, 활동가들, 그리고 집에 있는 둘째 아이에게 “어떤 사람이 혁신가인지” 끊임없이 묻는다.

각자 관심 분야나 배경지식에 따라 다른 답변을 들려주는데, 슘페터식으로 `기업가` 내지는 `창업자`의 테두리 안에서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혁신은 기업혁신, 기술혁신, 사회혁신 등으로 세분화되기도 하며, 특히 유럽 전통에서 기업혁신이나 기술혁신을 사회혁신과 구분하는 경향이 있다. 사람들에게는 아무래도 스티브 잡스 같은 기업·기술혁신가의 이미지, 그것도 탁월한 어느 개인으로서의 이미지가 강하다.

저자의 생각은 조금 다르다. 19세기 산업혁명은 흔히 제임스 와트라는 비범한 인물이 증기기관을 발명해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증기기관은 와트 한 사람의 아이디어로 탄생한 것이 아니라 여러 요소가 결합된 집합적 발명의 산물이라는 관점이 힘을 얻고 있다.

또한 증기기관 발명이라는 기술혁신은 발명 아이디어를 재산권으로 보장하는 제도혁신이 있었기에, 이후 발명품과 발명가가 줄을 이어 산업혁명을 추동하고 근대사회로 나아가는 문을 열었다고 볼 수 있다.

/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

문화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