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교과서 `국정화`에 대선개표 조작 논란까지…<BR> 야권 국정화 장외투쟁 맞서<BR>與 `이념투쟁` 여론전 맞불<bR>당청 “국기 흔드는 정치테러”<BR>대선조작 주장에 강력 대응
19대 국회 마지막 정기국회가 정쟁(政爭)의 수렁속으로 빠져들고 있다.
역사교과서 국정 전환 문제를 놓고 여야가 사생결단의 대치를 이어가는 가운데 야당 의원이 지난 2012년 대통령선거가 `부정선거`라는 의혹을 제기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특히 이번 정기국회가 내년 총선을 앞두고 열리는 마지막 정기국회인 만큼 여야 모두 이같은 `이슈 싸움`에서 극단적인 충돌도 불사하고 있어 예산·법안 심의도 파행과 졸속으로 흐를 것이란 우려도 커지고 있다.
◇여야 `사생결단` 투쟁 돌입
새정치민주연합은 교과서 국정화에 반대해 다른 야권 세력과 공동 전선을 구축하고 `장외 투쟁`에 나섰다.
행정예고기간이 끝나고 교과서 국정화가 확정되면 전면 장외투쟁 또는 정권 퇴진 투쟁으로까지 수위를 끌어올릴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문재인 대표가 14일 주한 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리는 `위안부 문제 해결 정기 수요집회`에 참석하는 등 사흘 연속 역사교과서 저지를 위한 장외 투쟁을 이어갔다.
문재인 대표는 최고위원회의에서 “정부가 추진한 교학사 교과서는 위안부 사진을 두고 `일본군을 따라다니는 경우가 많았다`면서 아베 정권과 같은 시각으로 왜곡 기술했다”며 “위안부 할머니들의 분노가 아베와 박근혜 대통령을 동시에 겨냥할 것”이라고 비판했다.
새누리당은 역사교과서 국정화 저지를 위한 야당의 장외 투쟁에 맞서, 역사교과서 논란을 `민생 대 이념투쟁`의 프레임으로 규정하고 여론전을 이어갔다. 새누리당은 15일에는 긴급 의원총회를 소집, 역사교과서 논란과 관련한 대응 방안과 여론전 전략 등을 논의하기로 했다.
김무성 대표는 최고위원중진연석회의에서 “야당이 역사교과서와 관련해서 노동개혁 등 4대 구조개혁과 예산안에 비협조로 일관하겠다는 계획마저 밝혔다”며 “민생을 정쟁의 볼모로 삼는 구태를 즉각 중단하길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당청, 부정대선 의혹에 발끈
새정치연합 강동원 의원이 전날 국회 대정부질문에서 지난 2012년 대선 당시의 개표조작 의혹을 제기하자 청와대는 물론 중앙선관위까지 강력 대응 기조를 보이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의 미국 방문을 수행 중인 김성우 청와대 홍보수석은 워싱턴DC 현지에서 브리핑을 통해 “대통령과 국민에 대한 명예훼손”이라며 강 의원의 사과와 새정치연합의 책임 있는 조치를 요구했다.
새누리당은 강 의원을 국회 윤리위원회에 제소하고 의원직 제명을 요구하는 한편, 새정치연합 문 대표에게 강 의원의 출당 조치를 촉구했다.
원유철 원내대표는 최고위원중진연석회의에서 강 의원의 주장을 `대선불복 망언`으로 규정, “이는 대통령을 뽑은 우리 국민에 대한 심각한 모독이자 국기를 흔드는 정치테러”라며 문 대표의 입장 표명을 촉구했다.
중앙선관위도 공식자료를 내고 “선관위의 명예를 심각하게 훼손하는 발언”이라고 강력한 유감을 표하고, 강 의원이 제시한 근거들을 항목별로 반박 또는 해명했다.
새정치민주연합은 “당과 관계가 없는 개인의견”이라고 선을 그었지만 `대선불복 프레임`을 앞세운 여권의 공세와 함께 지지층들 내에서도 비판적인 목소리가 나오자 곤혹스런 상황이다. 새정치연합은 이날 비공개 최고위원회에서 대책을 논의했으며 이번 발언이 국민들의 상식과 맞지 않는다는 점과 당의 방침과 관계가 없는 개인의견이라는 점에 공감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창형·박순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