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회화를 빛낸 그림들` 윤철규 지음 컬처북스 펴냄, 488쪽
조선 회화의 큰 `흐름`을 따라 장르별, 시대별, 작가별로, 종으로 횡으로 소개하고 있다. 전기와 중기는 안견에서 비롯되는 안견 화파와 중국의 영향 아래 시작된 절파 화풍을 소개하고, 후기는 중국 남종화의 전래, 진경산수화(眞景山水畵)와 풍속화의 등장에서부터 시작한다.
책은 그림에 있는 화제들의 원문을 모두 밝히고, 그 뜻을 풀어 줌으로써 그림에 대한 이해를 돕고 있다. 또한 변각 구도, 절파, 원체파, 남종화풍, 문인화론, 일격 화풍 등 해당 그림을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이론과 용어 등을 쉽게 풀어 그림과 함께 설명하고 있다.
겸재 화파에 이어 한국적 서정 실현에 성공한 김홍도와 그의 추종자, 문인 취향의 저변화와 함께 시를 테마로 그림을 그린 시의도(詩意圖)의 유행, 감상용 화조화의 등장, 서민 의식을 반영한 길상화와 민화의 세계를 포함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추사의 일격(逸格) 문인화파와 중인 화가들의 이색 화풍도 넣었다. 색다르다면 조선 회화에서 빼놓을 수 없는 중국 영향(맹영광의 `계정고사도`)을 좀 더 분명하게 했고, 일본과의 간헐적인 교류(기무라 겐카도 `겸가아집도`)도 소개해 조선 회화를 한눈으로 입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저자는 책머리에서 “각 화가의 그림에서 시대와 흐름, 개성을 함축적으로 잘 보여준 그림을 골라 보려했으며 그림과 관련된 에피소드도 함께 찾아봤다”며 “기록화라는 이유로 그다지 거론되지 않던 조선 시대 행사 내용을 그린 그림에도 관심을 뒀다”고 설명했다.
/정철화기자 chhjeong@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