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한수원, 월성원전 주변 지원책 서둘러야”

황재성기자
등록일 2015-03-13 02:01 게재일 2015-03-13 10면
스크랩버튼
상생대책 없이 계속운전 추진<BR>지역주민 신뢰도 추락 부추겨

【경주】 월성원자력 1호기의 `계속운전` 결정 이후 지속되고 있는 주민들의 반발과 원전에 대한 불신을 떨치기 위해서는 사업자인 한국수력원자력㈜이 주변 지역과 주민 지원책을 하루 빨리 내놓는 한편 방폐장 유치와 관련, 경주시와 약속한 사업들을 하나둘 해결하는 자세를 보여 경주시민에 대한 신뢰감을 심어줘야 한다는 여론이다.

지난달 27일 원자력안전위원회가 최초 운영허가 기간(30년)이 종료된 월성1호기의 계속운전(10년)을 결정한 이후 경주 양남면 월성원전 앞에서는 인근 나아리 주민 등 50여 명이 생계대책 마련 등을 요구하며 집회를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야당과 환경단체 등의 계속운전 반대 기자회견이 이어지고 있다.

이런 가운데 월성원전 측이 오는 16일부터 월성1호기의 계속운전을 위한 계획예방정비사업에 착수키로 하면서 주민들의 반발은 거세지고 있다.

문제는 계속운전 결정 때로 쟁점이 됐던 주민수용성 문제. 즉 주변 지역과 주민에 대한 지원책이다.

한수원 조석 사장은 월성1호기 계속운전 결정 이전에 현지를 찾아 주민들의 실상을 파악하고 지난달 26일 원안위에 출석해 “계속운전이 결정되면 주민 원책을 마련하는 데 전사적인 노력을 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러나 아직까지 구체화한 지원책이 나오지 않으면서 반대의 목소리와 함께 지역민의 갈등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정치세력까지 가세, 안정성 논란보다는 정치적으로 이용하려는 분위기까지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한수원은 원전 주변 지역과 주민들에 대한 발전·지원책을 하루 빨리 내놓고 협상테이블에 앉아야 한다는 지적이다.

아울러 한수원이 당초 불국사 주차장 터인 진현동에 짓기로 했다가 백지화한 사원주택 500가구의 확보 방안도 공식화하는 한편 방폐장 유치와 함께 약속한 자립형사립고 건립에 대한 입장도 이번에 분명히 밝혀 추락한 대주민 신뢰도를 높여야 한다는 여론이다.

한편 월성원전 측은 월성1호기 계속운전과 관련 “현재 원전 주변 지역 주민들을 위한 지원책을 마련하고 있으며, 45일 간의 계획예방정비 기간에 구체안을 들고 주민대표들과 협상테이블에 앉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황재성기자 jsgold@kbmaeil.com

동부권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