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우영미 행복한 맘 만들기 새 포항시지회장<br>경제성장 열쇠는 여성인력 활용… 직장 兩性평등정책 강화 필요
“여성들이 일과 가정을 양립할 수 있을 때 가족들과 보다 행복한 생활을 누릴 수 있습니다. 나아가 행복한 사회를 만드는 데 일조를 할 수 있는 것이죠”
우영미 (사)행복한 맘 만들기 포항시지회장은 취임 소감을 이렇게 말했다.
지난해 4월 워킹맘의 행복 증진과 저출산 극복운동을 기치로 내건 행복한 맘 만들기 경북본부 창립 멤버인 그는 일·가정 양립이 가능한 워킹맘이 행복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 지역여성들이 주체가 돼 소통과 연대의 가치를 공유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그래서 그 중심에서 많은 역할을 하고 싶다고 했다.
지난 23일 취임식에서 만난 우 회장은 저출산의 늪에 빠져 있는 한국의 고민을 해결하기 위해 우리 모두 적극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우리나라 합계출산율(15~49세 가임여성이 평생 낳을 수 있는 자녀 수)은 2012년 1.30명에서 2013년 1.19명으로 떨어졌습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4개국 중 꼴찌예요”
그는 저출산 문제는 인류번영에 있어 암울한 것이라고 했다. 특히 인구 변화는 속도가 완만하기 때문에 정부 차원에서 올바른 대책이 나와야 한다고 했다.
출산율 제고 해법에 대해 “젊은 부부가 자녀를 낳기 어렵게 하는 장애물부터 치워야 합니다. 학교 교육, 주택, 일자리 정책을 두루 살펴 출산과 충돌이 일어나는 부분을 찾아내야 합니다”
“정부가 한국적 상황에 맞는 출산정책을 찾아 계획을 수립하게 되면 저절로 워킹맘들의 출산율은 증가하게 되고 행복하게 생활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여성과 남성이 일과 육아를 나눌 수 있도록 직장에서의 양성평등 정책을 강화하는 방법이나 공공보육시설을 정부가 적극 지원해 품질과 신뢰를 높이는 등의 정책이 될 수 있겠죠”
인터뷰 말미에 그는 여성 인력의 활용은 경제성장률을 올릴 수 있는 열쇠라고 강조했다.
결국 지금의 문제는 일·가정 균형을 이룰 수 있는 여성이 일하기 좋은 사회구현을 위한 제도나 프로그램이 있느냐 없느냐 하는 차원에서 더 나아가 이러한 제도를 구성원들이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사회 문화가 조성돼 있는가를 살펴봐야 한다는 것.
앞으론 여성 인재들이 사회에 진출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이 얼마나 잘 갖춰져 있느냐에 의해 미래의 지속성이 좌우된다. 여성의 행복증진과 저출산 극복운동을 목표로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고 여성들을 위한 다양한 제도 마련, 지원 등의 노력을 하고 있는 행복한맘 만들기 포항시지회가 주도적 역할을 해 나갈 것으로 기대되는 이유다.
/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