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백프라자갤러리 양 그림 특별전<br>문상직·김찬주 서양화작품 선보여
2015 을미년 청양띠 해를 맞아 양 그림 특별전시회가 마련된다. 대백프라자갤러리는 7일부터 31일까지 대백프라자 11층 아트월(art-wall)에서 `양 그림 특별전- 푸른 희망(Blue Hope)`을 개최한다.
이번 청양띠 특별전은 양(羊)이 가진 순수함과 고귀함을 고스란히 담고 있는 문상직, 김찬주의 환상적이고 신비로운 작품들이 선보인다.
지역화단에서 활발한 작품활동을 펼치고 있는 문상직과 김찬주의 작품 10여점으로 구성된 이번 작품전에는 양의 이미지와 상징성을 고스란히 담고 있는 서양화 작품들이 소개된다.
전시회 주제인 양의 외형과 습성, 생태는 상(祥)·선(善)·미(美)·희(犧)처럼 좋은 의미의 글자에 반영됐고, 이러한 특성들은 상징화돼 우리 생활문화 속에 길상(吉祥)의 소재로 등장하고 있다. 현대사회는 인간들의 욕심으로 인해 점차 자연의 순수함이 상실되어져 간다.
이번 전시회는 이러한 현실을 순수함 자연을 상징하는 양떼 그림을 통해 치유 받는 힐링의 시간을 제공하고 길상의 대표하는 양띠 해를 맞아 좋은 일만 가득한 한해를 소망하는 의미를 담았다.
양 그림 화가로 익히 알려진 중견작가 문상직이 `양떼`를 그림 소재로 다루기 시작한 건 1990년부터이다. 20여 년간 일관된 화면 구성을 이어오고 있는 문상직의 `양떼`는 평화로운 자연을 배경으로 한가로이 노니는 양떼를 있는 그대로 보여주고 있지는 않다.
순진무구하고 맑은 정신세계의 자유로운 실현을 꿈꾸며, 실현하려는 작가의 의지가 고스란히 작품 속에 담겨져 있다. 작가 특유의 여성스러움과 섬세한 감성이 한데 어우러진 그의 작품은 양의 포근한 이미지만큼이나 따스함을 전해준다.
젊은 작가 김찬주 역시 다양한 동물소재의 작품을 통해 은유적인 메시지를 관객들에게 전해주고 있는 활동적인 화가이다. 자연에 대한 사랑과 교감의 정서 공간을 서정적으로 표현하고 있는 그의 작품 속에는 얼룩말과 사슴, 펭귄, 코끼리, 돼지, 양 등 사람과 다양한 동물들이 조화롭게 등장하고 있다.
마치 동화속의 주인공을 그림 속에서 다시 만나듯 친숙한 포즈로 그려진 동물들은 인간의 영혼 속에 내재되어 있는 순수함을 고스란히 담고 있다.
/정철화기자 chhjeong@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