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홍희 경북도의원<BR>정례회서 강력 제기
대구연구개발특구가 구미를 포함하도록 확대돼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홍희 경북도의원(구미·사진)은 지난 8일 경상북도의회 정례회 본회의에서 5분 자유발언을 통해 “미래 신성장 동력 확보를 위해 대구연구개발특구 확대 지정이 필요하다”고 강력하게 주장했다.
이 의원에 따르면 최근 대구경북의 대표산업인 ICT산업은 디지털에서 스마트를 거쳐 융합ICT로 진화하고 있고, 그 중에서 구미산업단지는 ICT의 주요생산기지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나 관련분야 투자와 R&D역량이 매우 부족해 중소기업 등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는 것. 연구개발특구는 산업, 기술, 지역 등 혁신정책을 통해 지식기반 중심이라는 대외적 환경 변화에 적극 대응하고, 우리나라 경제의 성장잠재력을 확충하는 목적을 두고 있다. 특히, 산·학·연 협력모델의 구축과 개발 기술에 대한 창업·사업화를 유도, 제품을 양산하는 등 국가기술의 혁신 및 경제체질 개선을 골자로 하고 있다.
현재 전국에 지정된 연구개발특구는 대덕, 광주, 부산 및 대구에 지정되어 있으며, 대전특구가 5개 지구에 67.8㎢, 부산특구는 6개 지구 147㎢인데 비해 대구특구는 7개지구 22.2㎢에 불과해 다른 특구에 비해 면적이 현저히 작다. 특허생산성이 뛰어나다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3개의 첨단기술기업과 연구소기업이 16개정도에 불과해 특구에서 개발된 특허기술의 사업화 기반이 다른 특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미흡하다.
따라서 이를 보완하기 위해 첨단산업 인프라가 구축된 구미를 대구 특구로 추가지정 한다면 칠곡의 융합R&D지구 및 동구의 의료R&D지구와 구미의 전자의료기기산업의 구조고도화 정책이 맞물려 큰 시너지 효과를 낼 것이라는 것. 또한 성서첨단산업지구와 구미전자통신분야의 전통적 IT기업 간 협조를 통해 두 지방자치단체가 경제적 가치를 공유할 수 있어 사업화 역량을 한층 더 강화 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
이홍희 의원은 “부산연구개발특구는 부산·경남의 상생협력체계 구축과 특구발전을 위해 김해·창원을 특구로 확대 지정하고 세부분야를 추가하는 등 특구의 변경을 추진한 선례가 있다”며 “경상북도에서 하루 빨리 대구시와 협의를 통해 구미가 대구연구개발특구에 추가 지정될 수 있도록 노력해달라”고 촉구했다.
/이창훈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