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이웃, 김종원` 손진은 지음 보이스사 간 펴냄
지역 의료봉사에 평생을 바치며 `착한 이웃`으로 살다간 인산 김종원(1914년~2007년) 선린병원 설립자가 탄생 100주년을 맞았다.
6·25의 폐허속에 굶주리고 아픈 어린이들을 볼봤고 자식들에게 재산 한 푼도 남겨 주지 않고 전재산을 지역 의료사업에 환원하고 세상을 떠난 그는 포항의 슈바이처로 기억되고 있다.
인산의 탄생 100주년을 맞아 그분의 생애가 재조명되고 있다.
시인이자 문학평론가인 경주대 손진은 교수가 김종원 탄생 100주년을 맞아 고아들의 아버지, 포항의 슈바이처 정도로만 알려진 김종원 박사의 전 생애를 되짚어낸 평전 `우리 이웃, 김종원`을 펴냈다. (보이스간, 2만5천원)
손 교수는 “할아버지 의사 김종원`이라는 이름은 경북 동해안 지역 사람들에게 낯설지 않지만 우리나라 현대사의 아픔을 고스란히 몸에 안고 온 인간 김종원을 만날 기회는 그동안 없었다”고 출간 동기를 밝혔다.
김종원은 6·25 전쟁 당시 북한군과의 교전 과정에서 초토화된 포항에 전쟁고아들과 임산부들을 위한 `미 해병 기념 소아진료소`가 개원되자 소장으로 자원하고 나서 현재 선린병원의 초석을 놓았다.
저자는 그런 결단을 할 수밖에 없었던 인간 김종원의 면모를 만지듯이 느낄 수 있었고 책을 통해 세간에 알려진 김종원의 면모 이상을 전달하고 싶었다고 강조했다.
이 책은 지난 2년간의 취재와 인터뷰, 자료 발굴을 바탕으로 압록강변인 평안북도 초산에서 태어난 병약한 소년의 두 차례 투옥과 민족의식에 눈을 뜨는 과정, 소아과 의사로의 결단, 평양의전과 평양의대 교수시절의 일화, 정치보위부에서 생사의 경계를 넘나들면서 세 아들을 북에 남기고 이산가족으로 살아온 과정, 삶의 철학과 정신 등 인산의 생애에 관련된 생생하고도 구체적인 내용을 오롯이 담았다.
더욱이 `미 해병 기념 소아진료소` 시절의 모자보건활동이 의학사적으로 다른 병원보다 30년이나 빨리 시행된 한국 최초의 의료사업임도 밝혀 놓았다. 더불어 손으로 직접 기록한 개소 1년간의 진료실적도 발굴했다.
손만 대면 낫는 할아버지 의사라는 세간의 평가 뒤에 숨겨진 일화, 평생 수입을 3등분해 구제비·생활비·저축으로 나눠 썼는데 항상 생활비를 당겨 구제비로 썼다는 것도 가계부의 기록을 통해 밝혀 냈다.
`인생이 끝난 뒤에 남는 것은 남에게 준 것뿐`이라는 인생의 좌우명, 일상생활 취미와 기호에 이르기까지 인산의 인간적인 면모를 담았다.
이 책에는 천재의사 김종원은 없다. 무엇을 하고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가를 고민하는 과정과 목표를 정한 후 일관되게 실천하는 모습, 그리고 거기에 만족하지 않고 민족과 인류를 위한 비전과 꿈을 키워나갔던 인물의 끝없는 노력만 있다.
인산은 밤새 자신을 기다리는 아이 엄마와 아가를 위해 새벽 5시부터 밤 9시까지 35년이나 지각 한 번 안 하고, 폐렴과 열사병에 걸려 신문지를 말아 코에 막아가면서까지 어린이를 진료했다.
서영욱 전 동산병원장은 이는 한국이나 세계 의료사에서 유일무이하며, 그런 일관된 노력과 어린이를 사랑한 그는 이미 한국의 슈바이처라 증언했다.
아울러 그는 40개 성상 이상을 일구고 발전시켜 온 선린병원을 조건 없이 한동대 의과대학 설립을 위해 기증했다. 지역민들의 치료만을 생각했던 인성의 바램은 의과대 설립이 무산되면서 끝내 실현되지는 못했다.
저자는 인성의 이러한 삶과 정신은 우리 세대가 물려받아야 할 유산이자 정신인데, 그것을 우리는 오히려 망각하고 있는 게 아닌가 하는 게 이 책을 쓰게 된 직접적인 동기였다고 밝혔다.
/정철화기자 chhjeong@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