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책임정치 구현”VS“중앙정치 예속”

사회2부·김종득 객원기자 종합
등록일 2014-06-30 02:01 게재일 2014-06-30 1면
스크랩버튼
새누리, 지방의회 새 의장단 구성 개입 곳곳 공방

오는 7월 일제히 개원하는 제7대 지방의회의 의장단 선출이 임박하자 새누리당의 개입이 시군 곳곳에서 속속 현실화되고 있다. 여당이 책임정치 구현의 취지를 내세우자 무소속 의원들을 중심으로 지방의회의 중앙정치 예속화이며, 당헌당규가 지방자치법 위에 군림한다고 반박하는 등 공방이 격화되고 있다.경주-결정, 상주-진행중

새누리당의 지역별 당원협의회 가운데 당초 예상을 깨고 일찌감치 당내 선출을 서둘렀던 상주시의회 보다 경주시의회가 먼저 당내 후보를 결정했다. 여당 소속 경주시의회 의원 당선자들은 지난 28일 오전 10시부터 당내 경선을 위한 모임을 갖고, 의장과 부의장 후보로 각각 3선의 권영길 현 부의장(라 선거구)과 2선인 서호대 현 문화행정위원장(나 선거구)을 추천하기로 했다.

권 당선자는 이날 김성수·박승직·이철우 당선자 등 3선의원 3명과 함께 물망에 올랐으나 김 당선자가 후반기 의장을 염두에 두고 포기, 총 3명에 대해 실시한 표결에서 압도적인 차로 결정된 것으로 알려졌다. 부의장 후보는 서 당선자가 단독으로 나서 만장일치로 추천됐다.

재적의원 21명 가운데 여당 소속이 16명으로 절대다수인 점을 감안하면 이날 당내 경선으로 제7대 경주시의회 의장·부의장 선출은 사실상 결정된 것이나 다름 없다.

이 같은 결과에 대해 새누리당 경주시당원협의회는 `책임정치를 구현하기 위해 당헌 당규에 따라 투명하고 공정한 절차에 의해서 당내 후보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한 무소속 당선자는 “당원협의회가 시의회의 자율성을 심대하게 침해했으며, 이는 기초의원 정당공천제 폐지 번복에 이은 새누리당의 지방의회 예속화 및 당헌당규의 지방자치법 무력화 시도”라고 반박했다.

경주 보다 한발 앞서 당내 선출을 추진했다가 여론의 역풍에 부딪힌 새누리당 상주시당원협의회도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상주시당협은 지난 16일 당선자들을 소집해 기초의원협의회 구성(안) 등을 논의한 데 이어 최근 초선의 김태희 당선자를 협의회장으로 선출했다. 이로써 김 회장은 새누리당 당헌·당규 제18조에 따라 제7대 상주시의회 운영위원장을 겸임하는 것으로 정해졌다. 당협은 당 안팎에서 형성됐던 반발 기류를 의식해 오는 7일께 예상되는 본회의 개회일 직전인 5~6일께 의장·부의장을 선출해 의회 선출에 내세울 것으로 전해졌다.

포항, 당론·당심에 촉각

모두 7명이 나선 포항시의회 의장 선출은 오는 7일 본회의를 앞두고 당조직의 개입 여부와 개입 방식에 관심이 모이고 있다.

당초 새누리당의 각 포항시당협은 지난 4일 선거 직후 부터 다선 당선자를 중심으로 의장단 선출에 대한 무소속 배제 원칙을 전달한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도내 곳곳에서 반발이 이어지자 여론을 의식해 신중한 입장을 보여왔다. 무소속 당선자들은 새누리당이 어떤 식으로든 개입할 공산이 크다고 전망하면서도 당 차원의 공세를 우려해 쉽사리 반발하지도 못하고 있다.

의장단 선출에 나선 한 다선 의원은 “새누리당이 이제 당론을 정할 때가 임박했지만 두 국회의원의 당심 향배만으로도 충분히 개입할 수 있다”면서 “무소속들이 불만은 많지만 자칫 과도하게 이들을 자극함으로써 당내 결집을 부추기는 등 역풍을 맞을 수 있어 조심스럽다”고 말을 아꼈다.

/사회2부·김종득 객원기자 종합

정치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