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도의회 교육전문위원 선정 `엇갈린 의견`

이창훈기자
등록일 2014-06-27 02:01 게재일 2014-06-27 5면
스크랩버튼
교육委 현행대로 단독위원회로 존속따라<BR>경북도-도교육청 입장차 커 귀추 주목

경북도의회 교육전문위원직을 놓고 경북도와 경북교육청의 입장차가 커 조율이 어떻게 될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이 안이 정리돼야만 경북도와 교육청 모두 7월초 인사안을 확정할 수 있다.

도의회 교육위원회는 당초 일몰제로 하기로 해 10대 들어 폐지될 가능성이 많았으나, 최근들어 단독위원회로 존치시키기로 방침이 바뀌었다.

이에 따라 현재 교육청 공무원이 맡고있는 전문위원(4급)을 비롯, 5,6,7,8급 등 5명의 공무원 임명을 놓고 교육청과 도청의 입장이 다른 것.

교육청측은 4급자리가 도청으로 넘어가면 서기관급 한자리가 줄어들어 인사의 폭이 좁아지고, 반면 도청은 4급 한자리가 늘어나게 돼 그만큼 숨통이 트이기 때문이다.

실제 경북교육청은 올해 7월 교육위원회가 폐지된다는 전제하에, 지난 1월 정기인사에서 현 전문위원의 철수를 고려, 본청 서기관급 한자리를 비워놓고 직무대리를 시키고 있는 중이다.

하지만 교육위원회가 존치로 방향을 틀면서 교육청은 현재대로 전문위원(4급)자리는 교육청공무원이, 5급 사무관자리는 도청공무원이 맡는 절충방식을 원하고 있고, 도청은 법대로 도청 소속 공무원이 맡아야 한다는 입장이다.

현행 안행부 지침은 지자체장인 도지사가 도의회 의장의 추천을 받아 임명하도록 되어있다.

그러나 교육청은 교육위원회는 교육소관업무를 다루는 곳으로 교육전문성이 중시되고, 또 지난 10일 열린 도의회 의장단 회의에서 교육위원회는 현재대로 존속하기를 바란다는 입장이 나와 기대를 걸고 있다.

반면 경북도 경우 고위 간부직은 교육청의 절충안을 어느 정도 수긍하고 있으나 노조 등은 반대하고 있는 분위기다.

박성수 경북도 정책기획관은 “이 문제에 대해서 심도있게 논의를 하고있는 중으로 향후 2,3일내 결론이 날 것”이라며 “원칙적으로 전문위원은 도청 정원이나, 상생하는 방향으로 가닥이 잡힐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밝혔다.

/이창훈기자

myway@kbmaeil.com

사회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