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쇼트트랙 단상

김살로메(소설가)
등록일 2014-02-20 02:01 게재일 2014-02-20 19면
스크랩버튼
소치 동계올림픽이 중반을 넘어섰다. 우리 선수가 등장하면 맘부터 졸인다. 우리가 남이가, 라는 정서와 근원적 모성이 절로 발동하는 것이다. 쇼트트랙 경기에서는 그런 맘이 더해진다. 쇼트트랙은 스피드보다 경기 운영의 묘미에서 승패가 좌우되는 경기이다. 눈치작전도 필요하고 그만큼 몸싸움도 치열하다. 관전하는 이도 덩달아 조마조마해질 수밖에 없다. 숱한 변수들을 살펴가며 가슴 졸이는 그 재미에 쇼트트랙을 좋아하는 이도 많다.

사랑받는 국민 스포츠인 쇼트트랙에 관한 잡음이 끊이질 않는다. 올림픽 때만 되면 단골메뉴로 회자된다. 파벌 싸움이란 큰 틀은 이제 온 국민이 알 정도가 되었다. 잘못은 빙상연맹 관계자들에게 있고 책임 또한 그들 몫이다. 하지만 달라진 건 없고, 그들 싸움의 제일 희생양은 선수들이란 사실만 남았다. 실력 보다는 팀워크를 중시하는 경기다 보니 선수들은 여러 요구 사항으로 심리적 압박을 받는다. 하지만 그 사항이 합당한 설득력을 갖추지 못한다면 끝내 갈등과 반발과 상처의 원인이 될 수밖에 없다.

이번 올림픽에서 보란듯이 성과를 낸 안현수 선수는 그나마 심리적·경제적 보상을 얻게 되었다. 다행이다. 빙상연맹 관계자들 정신 차리라는 의미에서 국민정서 또한 그러한 안현수를 응원한다. 하지만 또 다른 피해자인, 한 때는 선수였거나 지금 선수인 이들이 받을 상처는 누가 치유해주나? 선수들 입장에서는 누가 가해자고 누가 피해자일 수 없다. 모두 피해자들일 뿐이다.

성과 최고주의, 금메달 지상주의, 스포츠 국가주의를 조장하는 한 이런 부조리한 상황은 계속될 것이다. 한 자아의 건전한 성취욕이나 올곧은 투지를 지켜보는 것만으로도 올림픽은 충분한 감동을 선사한다. 개인의 영광이 타인에게 긍정의 자극을 주는 선만으로도 스포츠의 역할은 충분하다. 나부터 자국 선수가 나오면 떨려서 제대로 경기를 보지 못한다. 하지만 그 정서와 과격한 스포츠 국가주의와는 다르다. 금메달을 애국이나 국가와 동일시하는 사회 분위기가 이런 사태를 방관한 건 아닌지 돌아볼 일이다.

/김살로메(소설가)

팔면경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