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여름정가, 기초선거 공천 존폐로 후끈

박순원기자
등록일 2013-07-12 00:45 게재일 2013-07-12 3면
스크랩버튼
지역 의원들 “공약 지키며 정치 약자 배려를”
내년 지방선거에서의 공천제 폐지 여부가 정가를 뜨겁게 달구고 있다.

민주당은 전당원 투표로 공천제 폐지 여부를 당론으로 정하기로 결정했으며, 새누리당도 폐지를 포함한 정당 공천제에 상당부분 칼질을 가할 방침이다.

기초선거 공천제 폐지 문제는 지난 대선에서 여야 대선후보의 공약인 점에서 여당은 물론 야당도 확실한 부담감을 갖고 어떤 식으로든 대책을 내놓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공천제 폐지 여부의 열쇠를 쥐고 있는 대구·경북 국회의원들은 전면적인 폐지에 부정적인 입장이다.

새누리당 최경환(경북 경산·청도) 원내대표는 올해초 지역 기자들과의 간담회에서 공천제 폐지에 대해 부정적 견해를 밝힌 바 있다.

그는 “공천제 폐지가 박근혜 대통령의 공약이지만, 여러가지 부작용에 대해서도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었다.

이병석(경북 포항북) 국회부의장도 지난달 21일 `아시아포럼 21`토론회에서 “민주정치에서 정당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정당이 국민에게 다가갈 후보를 만드는 것이 공천”이라면서 “공천제를 폐지하면 여성이 남성후보자와 맞대결하기 어렵다. 현재 여론이 한쪽으로 쏠려있지는 않는 것 같다”고 말했다.

다만, 이 부의장은 “지난 대선에서 여야후보 모두 공천폐지 공약을 냈고, 그 공약은 아직도 유효하다”며 “개인적으로는 대선공약대로 공천폐지를 받아들인다”고 말했다.

강석호(경북 영양·영덕·봉화·울진) 의원도 “대통령의 공약은 지켜져야 한다”면서도 “장·단점을 살펴보고 진지하게 고민해야 한다”는 입장을 내놨다.

강 의원은 “특히, 공천제의 폐지는 여성들의 정치적 기회를 박탈할 수 있다는 위험도 존재한다”며 “예산편성 등 현대정치가 책임정치라는 부분에서도 공천제의 양비론이 있다”고 말했다.

경북도당위원장을 맡은 이철우(경북 김천) 의원도 “당의 공약이었던 만큼 폐지는 있어야 한다”며 “다만, 후보 난립 문제와 여성 등 정치적 약자에 대한 보완이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재원(경북 군위·의성·청송) 의원은 “박근혜 대통령의 공약”이라면서 “당 지도부의 일원으로 공식적인 입장은 없다”고 말했다.

다만, 그는 “개인적으로는 우리 지역구의 경우, 공천제를 폐지해도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부연했다.

민주당의 전당원 투표 결과도 주목되지만 여당인 새누리당 지도부가 이 문제에 대해 어떤 방안을 내놓을지 여부에 따라 당장 내년 지방선거의 판도는 물론, 향후 정치지형도가 크게 달라질 전망이다.

/박순원기자 god02@kbmaeil.com

정치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