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안동포 원료 `대마` 수확기 맞아 농민 손길 분주

장유수기자
등록일 2013-06-24 00:40 게재일 2013-06-24 19면
스크랩버튼
▲ 최근 안동포의 원료인 대마(삼) 수확기를 맞아 주 재배단지인 안동시 임하면 금소리 재배농가에서 농민들이 대마 수확으로 즐거운 구슬땀을 흘리고 있다.
【안동】 안동포의 원료인 대마(삼) 수확준비가 한창이다.

23일 안동시 임하면 금소리 농가들이 주 소득원인 대마(삼) 수확 준비에 즐거운 구슬땀을 흘리고 있다.

지난 3월말에 파종해 지금까지 약3개월간 2m이상 잘 자란 대마(삼)는 이달 22일부터 27일까지 닷새 동안 농부들의 손에 의해 전량 수확될 예정이다.

대마는 파종에서부터 수확까지 숙련된 농부들에 의해 한 치의 오차도 없이 전통방식에 따라 재배해 오고 있다.

수확작업 또한 직접 낫으로 한 번에 베어야 하는 고난도 기술이 필요한 작업이다.

이렇게 수확한 삼은 키를 맞춰 추린 다음 잎을 제거하고, 개량한 후에 단단히 묶어서 약4시간 동안 삼굿에서 삼을 쪄낸다.

이어 고운 빛깔을 내기 위해 다시 강변이나 골목, 비닐하우스 등에서 말리고 나서 다시 물에 불린 후 껍질을 벗긴다.

이렇듯 대마(삼)를 재배해 빛깔고운 안동포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수십 번 일일이 사람의 손을 거쳐야 하는 매우 힘든 작업을 해야 한다.

이 때문에 십수년전만 해도 30㏊ 가까이 재배됐던 대마는 까다로운 재배방식과 생산품인 안동포의 높은 가격으로 유통 및 판매가 어려워 많은 재배농가들이 다른 작목으로 전환하면서 눈에 띄게 재배면적이 감소해 왔다.

올해의 경우 임하면 내 대마재배면적은 16농가에 3㏊ 남짓해 규모가 작은 편이다.

그러나 안동시가 최근 중점 추진하고 있는 `안동포 활성화 사업`과 3대문화권 전략사업의 일환으로 지난해 말 최종보고회를 마친 `전통빛타래 길쌈마을` 조성사업 등이 본격적으로 추진될 예정에 있어 안동포 재배단지에 희망이 전해지고 있다.

임시백 임하면장은 “안동포마을은 안동시를 대표하는 안동포 주 생산단지로서 앞으로 안동포 관련 사업으로 인해 대마재배면적이 점차 확대돼 옛 명성을 반듯이 되찾아 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장유수기자 jang7775@kbmaeil.com

북부권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