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산시의회는 오는 24일과 25일 제157회 임시회를 개회해 △경산시 행정기구설치조례 전부개정조례안 △경산시 지방공무원정원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을 심의해 의결한다.
경산시 행정기구설치조례 전부개정조례안은 새정부의 안전관리 역량강화 정책기조와 연계한 안전정책 총괄·조정기능 강화를 위한 조직개편과 효율적인 업무추진과 조직관리를 위해 분장사무조정을 통한 부서와 신설, 개편을 추진하는 것으로 희망전략기획단을 신설하고 자치행정국을 안전행정국으로, 자치행정과를 안전행정과로 개편하고 건설과와 재난방재과를 건설방재과로 통·폐합, 도로철도과 신설, 시립박물관을 삼성현문화박물관으로 확대 개편한다.
또 새마을문화과가 문화관광과로, 체육진흥과는 새마을체육과로 부서 명칭이 변경되고 일부업무가 조정된다.
경산시 지방공무원정원의 정수가 1천61명에서 1천80명으로 19명 증원되고 일반직 855명이 875명으로 20명 증원되고 5급(사무관)도 49명에서 51명으로 증원된다.
대신 별정직 5명이 3명으로 2명 감소하는데 별정 5급 상당과 7급 상당이 1명이 준다.
시는 행안부의 표준설계면적에도 미치지 못하는 공직자의 사무공간과 주차공간의 절대부족을 해소하기 위해 구 아이리스웨딩 건물을 별관으로 인수해 차량등록사업소 등 6개 실·과의 이전을 최소한 7월 초까지 마친다는 계획이다.
경산시가 별관을 구입해 사무공간으로 꾸미는 것은 행안부 기준 사무공간에 턱없이 시청사가 부족해 효율적인 행정서비스와 복지수요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인구 26만의 경산시는 지난 88년 준공한 7천431㎡의 본관과 93년 준공한 후관(1천207㎡), 88년 준공한 별관(936㎡) 등 본청 면적이 9천574㎡로 기준의 54%에 그치며 직원의 쉼터는 물론 민원인이 편히 쉴 공간이 전혀 없는 실정이다. 시는 효율적인 업무추진과 조직관리를 위한 행정기구 개편이 완료되고 별관으로의 일부 이전에 따른 사무공간마련, 민원인을 위한 3S운동 등으로 행정서비스가 한층 성숙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심한식기자 shs1127@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