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험활동을 다녀와서
예로부터 사람은 태어나면 서울로, 말은 제주도로 보내라는 말이 있는데 우리 학교는 작년부터 2학년 학생들의 창의적 체험활동(창체·수학여행)의 주무대를 서울로 정해 놓았다. 그 이유는 우물 안 개구리가 되지 말라는 깊은 뜻을 담고 있다고 본다. 5월 마지막 주 3박4일간 일정으로 떠나는 창체를 위해 먼저 친한 친구들끼리 조를 짜고 탐방지에 대한 정보를 모았다.
틈틈이 모여앉아 백제문화유산과 서울소재대학 그리고 직업탐방을 위해 찾아갈 곳에 대해 서울의 지하철노선을 살펴보며 과연 우리가 서울이라는 곳에서 제대로 잘 찾아다닐 수 있을까 하는 걱정과 설레임이 교차했다. 드디어 5월28일 기다리던 체험활동 출발일이 됐다. 다들 부푼 마음을 안고 조별로 버스에 올랐다. 첫날은 부여, 공주로 가서 백제시대 유적을 탐방했다. 국립공주박물관의 백제 유물과 무령왕릉을 둘러봤다. 무령왕과 왕비의 묘지가 있는 무령왕릉은 묘실 전체를 벽돌로 쌓은 것이 특징이었다. 역시 책에서만 보던 것과 달리 직접보니 놀라웠다. 백제 시대 도읍지인 공주를 보호하기 위해 쌓은 공산성을 본 뒤 부여로 향했다. 부여 백제문화단지 전망대에서 바라본 경치는 신라의 수도였던 경주에서 느낄 수 없었던 색다른 그 무엇이 있었다.
둘째 날. 친구들과 조를 이룬 나는 계획대로 서울대를 찾았다.
서울대입구에서 기념사진 촬영을 한 후 서울대 안에 있는 규장각까지 걸어 들어갔다. 서울대 캠퍼스는 어마어마하게 넓었고 지나가는 형, 누나들이 전부 수재로 보여 어깨가 잠시 움츠러들었지만 친구와 나는 보무도 당당하게 걸어 규장각을 찾아갔다. 규장각 내부에는 대동여지도, 택리지, 신증동국여지승람 등 수업시간에 배운 책들과 용비어천가, 구운몽 등 익숙한 작품들이 있었다. 교과서에서 이름만 들었던 귀중한 옛 고서들을 직접 보는 게 신기했다. 서울대를 떠나기 전 마지막으로 서울대에 재학 중인 선배들을 만났다. 선배 중 한 명은 삼수 끝에 서울대학교에 입학했는데 엄청난 노력이 필요했다고 했다. 이야기를 다 들은 후 노력 없이는 자신의 꿈을 이룰 수 없다는 걸 다시 한 번 깨달았다.
셋째 날 신재생 에너지와 관련된 곳에서 직업 탐색을 하는 기회를 가졌다. 이 일은 못쓰는 자원을 살려서 에너지로 활용하도록 하는 것이었다. 환경에 오염되는 물질들을 다시 우리 생활에 도움이 되도록 한다니 매우 신기했다. 생각을 다각도로 해보면 끊임없이 좋은 기술로 여러 가지 산업 및 그에 관한 직업이 생긴다는 소중한 체험을 했다. 직업 탐색을 끝낸 후 우리 조는 인천문학구장에서 대구가 연고인 삼성과 SK전 경기를 보러갔다. SK 홈구장에서 친구들과 목이 터져라 삼성을 응원하다 보니 친구들끼리 학교에서 느낄 수 없었던 우정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 날 가본 서울 중심가에 있는 경복궁도 인상적이었다. 경복은 큰 복을 누리라라는 뜻으로 정도전이 이름을 지었다고 한다. 광화문을 지나 근정전, 경회루 등을 둘러보니 한 폭의 그림같이 아름다웠다. 서울에서 마지막 일정을 아쉬워하며 점심은 최고 맛있는 맛집에서 먹자고 하여 미리 검색해 두었던 청와대 근처에 있는 유명한 삼계탕 집에서 먹은 삼계탕은 꿀맛이었다. 점심을 먹고 광화문광장 주변에 우뚝솟은 국내 굴지의 대기업, 언론사들의 사옥과 고층 빌딩을 보니 여기가 서울은 서울이구나 싶었다. 세종대왕과 이순신 장군 동상 앞에서 멋진 포즈로 사진을 찍은 후 3박4일간의 창체 활동을 마무리하였다. 서울의 일부만 보고 창체활동을 마치게 되어 섭섭했지만 서울은 진짜 내가 상상했던 것보다 훨씬 크고 대한민국의 수도이자 정치, 경제의 중심으로 세계 어디에 내놓아도 손색없는 국제도시임을 실감했다.
학교로 돌아가면 지금보다 더욱 열심히 공부해 대한민국과 우리 사회에 꼭 필요한 인재가 되겠다는 다짐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