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지상 낙원 지키기

김살로메(소설가)
등록일 2013-05-16 00:44 게재일 2013-05-16 19면
스크랩버튼
자원은 유한하다. 이 명백한 명제를 실감하기 어려운 인류는 오늘도 지구 표면 이곳저곳을 삽질해 제 욕망을 채운다. 고등학교 지리시간에 자원의 잔존량에 대해 배운 적이 있는데, 석유의 경우 불과 50년만 지나면 고갈된다고 했다. 삼십 년도 훨씬 지난 일이니 그때 기준이라면 석유자원은 이제 20년 정도 밖에 생명력이 없다. 하지만 우린 그때 배운 기억을 그다지 신뢰하지 않는다. 부족한 자원에 대한 불편함이나 그로 인한 고통을 일상에서 절실하게 맞닥뜨리지 않기 때문이다.

자원의 유한성을 자각하지 못한 인간의 파괴적 욕망의 실체를 잘 보여주는 예시의 땅이 여기 있다. 그것은 성찰 없고 무분별한 우리의 미래를 보여준다. 여의도 크기의 두 배 남짓한 조그만 섬 나우루. 호주와 하와이 사이에 있는, 일만여 명 남짓한 주민들로 이루어진 세계에서 가장 작은 공화국이다. 이곳 사람들은 천국에서 지옥을 경험하고 있다. 이들의 비극적 실상은 구미 열강들의 자원전쟁이 도화선이 되었다. 백 년도 채 되지 않아 그들은 지상낙원을 팔아 부를 경험했지만 이내 나락으로 떨어졌다.

나우루는 인광석이란 자원을 발견한 열강들에 의해 파괴되기 시작했다. 1968년 나우루가 독립국이 되면서 고급비료의 원료인 그것은 주민들의 특혜 산업의 원동력이 되었다. 직수출 자원이 된 인광석 하나로 그들은 하루아침에 부를 손에 잡았다. 삽질을 재촉할수록 돈이 쌓였다. 그 좁은 땅에 외제차가 굴러가고 먹거리는 풍부해졌으며, 해외로 나간 주민들은 맘껏 돈을 뿌렸다.

하지만 무한한 자원은 없다. 인광석이 고갈된 현재의 그들 생활은 지옥이 따로 없다. 각종 질병이 난무하고 게을러진 국민성과 수입 감소로 최빈국 중의 하나로 전락했다. 지구온난화까지 겹쳐 해수면 상승까지 도래한 그들의 처지는 인류의 미래를 경고하는 좋은 교훈이 되고 있다. 나우루의 실상을 보면서 자원의 유한은 머릿속 관념이 아니라 경험적 실체라는 것을 알게 된다. 나우루는 세계화를 외치는 인류의 불편한 자화상이다.

/김살로메(소설가)

팔면경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