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나이 든다는 것

김살로메(소설가)
등록일 2013-04-03 00:28 게재일 2013-04-03 19면
스크랩버튼
아직까지는 나이 든다는 것에 대해 크게 두렵거나 실망하지는 않는다. 이제껏 그러했듯이 어제보다는 오늘이 낫고, 오늘보다는 내일이 나을 것이라는 희망으로 산다. 다만 젊었을 때에 비해 나이 들어간다는 것은 확실히 마음의 준비를 필요로 한다. 인간의 삶과 가치를 연구해온 코넬대의 칼 필레머 교수가 그에 대한 조언을 해준다. 그의 저서 `내가 알고 있는 걸 당신도 알게 된다면`에는 결혼, 양육, 일, 여가 등에 관한 취재기적 충고가 나오는데 그 중`두려움 없이 나이 드는 5가지 조언`에 눈길이 오래 머문다.

우선 나이 드는 건 생각보다 괜찮은 일이다. 이 말은 중년의 생각이나, 여유, 감각, 포스 등이 얼마나 즐길만한 것인지 겪어보지 못한 젊은이들은 이해하기 힘들 것이다. 그 나이를 온몸으로 관통해봐야만 그 `괜찮음`의 의미를 알게 된다. 두 번째, 백 년을 쓸 몸 아껴라. 이 충고는 뼈저리게 새겨들어야 하는데 생각보다 실천이 어렵다. 몸을 방치하면 나도 괴롭지만 주변 가족마저 고통스럽다. 그건 어리석은 이기심에 지나지 않는다.

세 번째, 미리 걱정하지 마라. 대부분 닥치지도 않은 미래나 죽음을 앞서 걱정한다. 걱정을 걱정하는 시간에 대비하는 게 더 생산적이라는 말씀이렷다. 네 번째, 관계의 끈을 놓지 마라. 중년에 들면 의식적으로라도 관계의 장을 넓혀가란다. 이 역시 쉬운 건 아니지만 우울증이나 자괴감을 벗어나는 가장 좋은 방법이 사람들과 부대끼는 것이라 하지 않는가. 마지막으로 노후의 거처를 계획해두라. 노후에 대한 현실적 주거 계획을 세우는 것만으로도 심신의 안정에 도움이 된다. 소박하고 구체적인 노후 환경 계획을 떠올리다 보면 입가에 미소가 지어지기도 한다.

오지 않을 것 같은 미래인 노년이나 죽음은 누구에게나 온다. 그것에 대한 몇 가지 명시적 조언을 새기는 것만으로도 그 시간의 반은 준비된 기분이다. 가장 지혜롭게 인생을 나는 방법은 끊임없는 자기 훈련에 있다는 것을 `두려움 없이 나이 드는 법`은 알려 준다.

/김살로메(소설가)

팔면경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