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젠가 게임

김살로메(소설가)
등록일 2013-03-22 00:03 게재일 2013-03-22 23면
스크랩버튼
다 컸지만 우리집 아이 둘은 아직도 젠가(jenga) 게임을 즐긴다. 아이들이 어렸을 때 마련한 그 나무 블록은 모서리가 닳아 반들반들하다. 몇 번의 이사를 거쳤고 아이들은 다 자랐는데도, 버리기 좋아하는 내 손에 그 장난감이 살아남은 것을 보면 아이들이 젠가를 얼마나 아끼는지를 알 수 있다.

각자의 기숙사에서 돌아온 딸과 아들은 스마트 폰과 친구하기도 지겨운지 젠가 게임을 시작한다. 3개씩 18층으로 블록을 올린 뒤 맨 위층을 제외한 나머지 층의 블록을 하나씩 빼서 맨 위층에 다시 쌓아 올리는 놀이가 젠가이다. 블록을 제대로 빼지 못하거나, 제대로 쌓지 못해 탑을 무너뜨린 사람이 진다. 한 마디로 `잘 쌓은 것을 잘 지켜내야 하는` 게임이다. 새로 쌓거나 덧대는 게 아니라, 아무리 빼고 쌓아도 18층 높이에 변화가 있는 건 아니다.

공든 탑이 무너지랴, 라는 속담이 무색할 만큼 순간의 실수로 블록을 잘못 뽑거나, 뽑은 것을 쌓을 지점을 잘못 선택하면 탑은 와르르 무너지고 만다. 우리 삶도 그러하다. 아무리 제대로 쌓아도 지키는 데 무신경하면 무너지기는 쉽다. 무너지는 것도 순간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채우기에만 급급하다. 교양을 쌓고, 인맥을 넓히고, 지식을 거두며, 경력을 높이는 것이 삶의 의미라고 생각한다. 비거나 모자란 채로 있으면 어딘지 모르게 조급해진다.

하지만 실은 채우는 것보다 지키는 일이 더 중요하다. 위로 쌓고, 옆으로 넓히는 것 못지않게 본래적 심성이 갖고 있는 고유결을 지키고 재구성하는 것이 더 필요하다. 잘 못 빼면 한 방에 무너지는 게 삶이기 때문이다. 보도에 의하면 한 방에 실수하는 사람들이 많다. 실행(失行)으로 추락하고, 실언과 실문(失文)으로 낭패를 당한다. 있는 것을 재배치하는 것보다 더 쌓으려는 욕심이 강하다 보니 실수 또한 잦게 된다. 쌓아온 자신만의 사명을 유지하고 성찰하는 게 말처럼 쉬운 건 아니다. 내가 가진 소박함의 품위, 그것을 지키려는 노력을 젠가 게임에서 읽는 저녁이다.

/김살로메(소설가)

팔면경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